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2형 당뇨병의 병인과 치료 원리(Type 2 diabetes: principles of pathogenesis and therapy)

전문가 제언
□ 2형 당뇨병은 세계적으로 1억7천만 명이 넘는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며 2010년에는 세계적으로 거의 50%에 달하는 환자가 발병할 것으로 예견되고 있다. WHO에서는 아프리카, 아시아 및 남아메리카에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당뇨병 증세의 90%는 2형 당뇨병(Non-insulin dependent)이며 나머지는 주로 1형에 속하는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으로 간주하게 된다.

□ 2형 당뇨병은 비만과 부분적인 관련이 있으며 임상적으로 고혈당증(Hyperglycaemia)을 발증하게 되며 췌장 β세포(Pancreas β cell)의 기능적 장애에 의해 인슐린 저항성, 당독성, 지방독성 등의 기능적 장애를 초래함으로써 건강배려체계에 막대한 지장을 부과하여 당뇨병성 합병증을 유발하게 된다.

□ 2형 당뇨병의 합병증 유발 원인 중에 하나인 당화단백질 복합체의 Sorbitol축적으로 인하여 미소혈관계의 병변을 초래함으로써 발증하는 합병증으로는 망막증(Retinopathy), 신장병증(Nephropathy) 및 신경변증(Neuropathy)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혈관계 병변은 심장혈관계에 영향을 미쳐 당뇨병의 경우 일반인 보다 2~3배 더 많은 관상동맥질환을 초래함으로써 급성 심근경색이 25% 이상 관련한다는 것을 강조하였으면 한다.

□ 2형 당뇨병은 몇 가지 유전자 생성에서의 변화에 의해 일어나는 복합요인의 병변을 가지며 2형 당뇨병 환자의 직계에서 15~25%의 양성 당뇨가 발생하였으며 생존기간 중 당뇨가 발생할 확률은 한쪽 부모가 2형 당뇨병일 경우 38%가 되며 양쪽 부모가 모두 이환한 경우 자손에서의 발병가능성은 60대에 가서 거의 60%에 이르는 등 유전적 소인이 있음이 알려진 바, 가계에 유전적 소인이 있을 시는 사전에 예방적 조치를 강구하여야 하겠다.
저자
Stumvoll, M; Goldstein, BJ; van Haeften, TW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5
권(호)
365(9467)
잡지명
LANCET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333~1346
분석자
최*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