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치들의 합주(Device Ensembles)
- 전문가 제언
-
□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핸드폰, MP3, GPS 리시버 같은 디지털 제품들은 각기 독특한 기능적 수요가 있어 생산 보급되었지만 비슷한 기능을 갖는 장치들끼리는 통합될 것이다. 예를 들면 삐삐가 핸드폰으로, PIM이 핸드폰으로 통합되었다. 더 나아가 카메라, PDA, GPS, MP3 등의 기능도 핸드폰으로 흡수 통합되는 것 같은 경향이다. 그러면 미래에는 만능 핸드폰만 남고 다른 미디어제품이나 정보장치들은 모두 사라질 것인가? 장치합주는 필요 없는 것인가?
□ 그렇지 않다는 것이 통설이다. 학자들은 이와 같은 현상을 맥가이버 칼에 비유하여 “한 장치가 모든 일을 다 하면 복잡도만 늘어나고 한 가지도 제대로 하는 것이 없다.”고 평한다. 이는 전용 PDA가 핸드폰보다 편리한 것으로도 증명된다. 사람은 항상 자연스런 도구를 선호할 것이고 결국 특수 장치들은 계속 제작되고 존재할 것이다. 이들은 또한 자기 장치의 기능보다 우월한 다른 장치의 기능을 활용하거나 다른 장치를 원격 조종 또는 통신하려할 것이다. 이런 목적으로 타 장치와 상호연동 이 필요하고 이것이 합주음악형태인 장치들의 합주가 자연스럽게 탄생하는 과정이고 미래에도 계속 발전할 것이다.
□ 장치합주를 위하여 장치를 발견해야하고, 결합시키고, 그리고 합주형성 등의 절차가 필요하다. 장치발견과 결합은 연결계층과 통신망계층 기술들을 이용한다. Bluetooth는 근접장치들의 무선통신, Wi-Fi나 UWB는 근거리 장치 또는 기간통신망과의 고속 무선통신에 널리 사용된다. 최근 NFC가 이들의 대체기술로 등장하여 라디오 주파수를 사용하여 근접장치와 결합과 데이터 교환을 수행한다. 그 다음으로 Jini와 UPnP 같은 장치 상호연동 표준이 통신망 프로토콜을 바탕으로 통합된 데이터통신을 하여 장치합주를 형성한다. 이들은 데이터 이동이나 동기화 또는 형식 변환을 거쳐 최종적으로 응용계층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장치합주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장래에는 이들 장치합주에 참여하는 장치는 가전을 포함하여 보안장치 업무용 장치 등으로 확산될 것이고, 이들 합주기능의 우월한 데이터 이용기능, 향상된 연결성, 다수 장치 응용능력은 미래 컴퓨터와 통신의 기술발전을 주도해나갈 것이다.
- 저자
- Shilit, B. N; Sengupta, U.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4
- 권(호)
- 37(12)
- 잡지명
- IEEE Computer Societ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56~64
- 분석자
- 신*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