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폴리스티렌 포장재 고형 폐기물의 재활용(Method of Recycling Solid waste Polystyrene Packing Materials)

전문가 제언
□ 폴리스티렌의 특성은 방식성(防蝕性), 방수성 및 높은 절연성과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어 고형 포장재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한번 사용하고 나면 고형 포장재는 폐기물이 되어, 이의 재활용 공정을 개발하는 것은 환경보전 면에서 아주 중요하다.

□ 코팅제로 최종 생성물이 사용된다면 생성하는 유체는 끈적끈적하지만 그래도 유동성을 유지하여 쉽게 코팅되는 표면에 발라지고 퍼져야 한다. 접착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고형 폴리스티렌 조각이 용매에 용해되어야 하고 생성하는 용액이 더욱 끈적끈적한 점성을 가져야 한다.

□ 폐 폴리스티렌을 용해하기 위해 사용된 dimethylbenzene의 원료 용매는 1,3-dimethylbenzene과 1,4-dimethylbenzene의 2가지 이성체(異性体)이다. dimethylbenzene의 다른 원료로서는 석유로부터 접촉 개질법에 의해 제조되는 방향족 화합물이다.

□ 국내 폴리스티렌(expanded polystyrene 포함) 폐기물 배출량은 연간 약 6만 ton이다. 이 중 폐 부표(buoys)가 약 3만ton으로 절반을 차지하고 나머지는 폐 건축 단열재와 폐 포장재이다.

□ 국내의 폴리스티렌 재활용 현황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지방자치체가 폴리스티렌 폐기물 감량을 목적으로 열분해하여 잉곳(ingot ; 鑄塊)을 생산하고 있다. 이 잉곳을 국내 중소기업들이 구매하여 액자, plastics, 비누갑 등의 일용품을 생산하고 있다. 이러한 공정을 물리적인 재활용이라 한다. 본 특허와 같이 용매를 사용하면 화학적 재활용이라 한다.

□ 국내의 폴리스티렌 재활용 연구 동향은 과기부와 환경부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21세기 프론티어 사업의 일환으로 자원 재활용 기술개발 사업단을 통하여 한국화학연구원에서 폐 폴리스티렌을 열분해하여 얻은 oil 중, styrene 모노머를 증기압 차이로 증류하여 모노머만을 얻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저자
Zhang, Qiang; Yuan, Zhi-Zhong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5
권(호)
WO20050012414
잡지명
PCT 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13
분석자
유*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