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농제품에서 미생물 배양에 의한 CLA생산(Impact of microbial cultures on conjugated linoleic acid in dairy products - a review)
- 전문가 제언
-
□ CLA란 리놀레산(octadecadienoic acid)의 위치 및 기하학적 이성질체로서 자연적으로는 주로 반추동물이 생산하는 식품에 함유되고 있으며 최근의 여러 실험 결과에서 CLA는 인체에 유익한 다양한 기능성을 나타내는 성분이다. 천연적인 CLA의 생산은 우선 반추동물의 반추위 내에서 리놀레산이 포화지방산으로 전환하는 수소첨가반응 과정의 대사산물로서 생성되고, 또한 대사산물로서 흡수된 vaccenic acid가 유선에서 CLA로 합성된다. 그리고 요구르트 및 치즈 제조에 사용하는 종균으로서 Lactobacillus, Propionibacterium, Bifidobacterium균이 유리 리놀레산을 CLA로 합성한다. 치즈의 경우는 숙성기간 중에 생산된 유리 리놀레산이 바로바로 CLA로 전환되므로 숙성기간 증가 시 따라서 증가한다. 그러나 대체로 낙농제품의 발효과정에서 생산되는 CLA함량은 아직까지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너무 적은 수준이다.
□ 기능성을 나타내는 CLA는 c9, t11-C18:2와 t10, c12-C18:2로서 주로 c9, t11-C18:2에 대한 합성 및 미생물 발효에 의한 연구가 집중되었으며 t10, c12-C18:2에 대한 생산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아울러 c9, t11-C18:2는 여러 계통의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발휘하나 t10, c12-C18:2는 지방세포에서 지방산 산화촉진작용, 전 지방세포 분화억제, 간에서 스테로일-CoA 불포화화 효소 (steroyl-coA desaturase)의 강력한 활성 억제 작용을 발휘하므로 비만문제를 완화할 수 있는 더욱 흥미로운 성분이다.
□ 미생물이 CLA 합성용 기질로 사용하는 것은 주로 유리형 리놀레산으로서 국가에 따라서는 식품제조용 첨가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 및 목적하는 균의 성장이 크게 억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리놀레산 함량이 풍부한 중성 지방형 (TG) 유지류를 기질로 사용할 수 있는 합성능력이 우수한 균주의 개발도 필요하다.
- 저자
- R. Sieber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4
- 권(호)
- 14
- 잡지명
- International Dairy Jour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15
- 분석자
- 윤*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