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인식 컴퓨터와 통신(Socially Aware Computation and Communication)
- 전문가 제언
-
□ 문화적으로 명확한 사회적 통신은 대부분 의식적이다. 결정을 뜻하는 박수나 의사봉 3타 등이 그 예다. 그러나 논문에서 본 바와 같이 일반적인 대화나 단체토론에서 사회상황을 주도해나가는 잠재의식적 사회적 신호들도 있다. 이들이 의식적 개인 심리와 상호작용 하여 무의식적 사회심리가 형성되는 것이다. 본 논문의 핵심은 이러한 무의식적 사회심리 형성과정에 사회인식 시스템이 개입하여 그룹의 결속력을 강화하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유도하자는 것이다.
□ 이를 위하여 시스템은 그룹대화의 무의식적 사회신호를 파악하여 사회적신호 4형태에 따른 계량화와 분류 인식 작업을 한다. 관심대상 대화면 원격 그룹회원에게 통보하여 접속케 한다. 다시 말해서 잠재의식적 사회신호를 컴퓨터가 분석 제공했고 여기에 그룹회원의 의식적 개인 심리가 작용하면, 무의식적 사회심리 형성이 진행되는 Markov 과정상에서 상태변화는 결국 컴퓨터와 그룹이 주도하게 됨으로 긍정적인 결과로 귀결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 이러한 시스템은, 비록 사생활 침범 우려가 있지만, 현재 가스 관리원, 가전제품 수리원 등이 사용하는 PDA 망을 사회인식 컴퓨터 시스템으로 증강시켜 적용한다든지, 일반 회사에서 임직원에게 적용하면 급변하는 사회를 컴퓨터와 함께 항해할 수 있는 강력한 수단이 될 것이다.
□ 이러한 시스템의 기능은 고차원적이고 장기간에 걸쳐 평가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성능을 비교 평가하기가 힘들다. 대화로부터의 음성을 분석하여 얼마나 잘 4신호형태로 즉 활동수준, 연대성, 스트레스, 반사로 계량화시켜 파악했느냐가 시스템 성능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 다음으로 이러한 신호형태들과 사회상태로부터 관심대화상태 즉 사회심리 형성과정에 개입하기위해 원격 그룹회원에게 연락하여 접속케 할 시기인가를 추출해내는 거대한 룰 베이스 전문가 시스템의 성능이 사회인식시스템 전반에 걸친 성능을 좌우할 것이다. 활용목적이나 그룹기능에 따라 어떤 사회심리학적 변수를 얼마나 잘 계량화하느냐에 따라 전문가 시스템의 능력범위가 정해진다. 통신제품은 대부분 기존 시장제품군이고 잘 발달된 기술이라 성능에 영향을 적게 미칠 것이다.
- 저자
- Plantland, 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5
- 권(호)
- 38(3)
- 잡지명
- IEEE Computer Societ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33~40
- 분석자
- 신*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