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형 동력원의 마이크로화에 관한 연구개발
- 전문가 제언
-
□ 이 자료는 일본의 대표적 전자기기 메이커 중의 하나인 Matsushita전공(주)이 국가 프로젝트로 수행한 휴대형 동력원의 마이크로화에 관한 연구개발 사업 중에서 2003년도 성과보고서를 요약한 내용이다.
□ 휴대폰, PDA 등 휴대형 전자기기의 소형화추세에 따라 이들 휴대기기 동력원의 마이크로화가 진행되고 있고, 최근 미국을 비롯하여 주요국에서 연료전지기술인 DMFC(Direct Methanol Fuel Cell)가 건전지를 대체할 수 있는 매우 유망한 동력원으로 주목받아왔다. 그러나 DMFC는 에너지밀도, 사용시간, 환경적합성 등에서 여전히 만족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 연구프로젝트의 목표는 DMFC가 갖는 성능과 응용상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마이크로 연료전지”의 개발에 있다. 3년차 연구개발성과로 볼 때 마이크로 연소기와 열전변환에 의한 발전모듈기술은 초기목표를 달성하고, 마이크로 연료전지의 유체제어 디바이스 등 MEMS 미세가공기술을 이용한 요소디바이스기술이 앞으로 주요개발 과제로 제시되고 있다.
□ Matsushita전공(주)은 지금까지의 연구개발 결과를 활용하여 일부 전자기기(면도기, 전자혈압계 등)형의 동력원으로 상품화하고, 제조 노하우와 품질을 보완하여 다양한 용도의 마이크로 동력원으로서 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다. 이 계획이 현실화 할 경우, 현재 중요한 산업적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국내 휴대형 전자기기산업의 국제경쟁력이 시험대에 오를 가능성이 있다.
□ 앞으로 기술과 제품의 수입 의존 구조를 타개하기 위해 현재 진행 중인 연료전지 연구사업에서 휴대형 전자기기의 응용을 타깃으로 한 마이크로 연료전지의 개발목표를 일본의 개발동향에 대응하여 조정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저자
- Matsushita Electric Works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2004)
- 잡지명
- NEDO기술정보데이터베이스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1~27
- 분석자
- 박*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