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지능형 프로젝터로 하는 내장 오락(Embedded Entertainment with Smart Projector)

전문가 제언
□ 본 논문의 지능형 프로젝터는 관람자로 하여금 3차원 비정상표면에 투사된 영상을 평면 정상화면에 투사한 것처럼 보이게 한다. 이를 위한 장치는 XGA LCD 비디오 프로젝터, CCD 캠코더, TV카드, Nvidia GeForce FX6800GT 직물도(pixel shader) 기능 그래픽카드, PC 등으로 구성하여 시험하였다. 조정 시 카메라는 최적관람석에 놓아 목표투시도와 일치시키고 프로젝터는 임의 배치하였다. 프로젝터가 조정용 특수영상을 투사하면 카메라가 이를 잡아 동기화시킨다.

□ 우선 횡-종 부호화 도형 투사방법과 위상이동을 적용하여 각 카메라화소를 해당 프로젝터 화소와 대응시키는 “화소변환도”를 형성한다. 카메라가 잡은 영상은 비정상화면 때문에 왜곡되었다. 그러나 최적관람석에서 이는 정상적으로 입력영상과 같아야한다. 카메라에 정상화면을 얻기 위하여 어떻게 프로젝터 투시도를 변형시키느냐 하는 것은 전술한 화소변환도와 삼각측량법을 사용하여 변형함수를 구하면 된다.

□ 화소변환도가 직물도로 변환되고 이 것이 변수로 그래픽카드에 보내지면 화소묘영기(pixel shader)가 실시간으로 영상변형을 수행한다. 이 때 화소의 색도 교정되는데 이는 직물도(texture map)에 있는 참조 (reference) 도움으로 프로젝터 투시도의 각 화소를 해당하는 입력영상의 화소의 색으로 바꾸어서 이루어진다. 그 결과 영상은 스크린 없이 비정상표면상에서 정상 스크린상의 영상처럼 볼 수 있게 된다.

□ 고해상도 대형화면이나 임의환경 삼차원 영상을 실현시키려면 지능형 다수 다 초점 프로젝터로 확대시켜야한다. 이 때 발생하는 많은 문제점 중 다수 프로젝터 조정시간과 동기화 문제가 제일 중요할 것이다. 따라서 별도 조정과정 없이 초기 투영단계에서 시스템 조정이 자동으로 형성되는 방법을 고안해야할 것이다. 이 것은 편차발생영상(카메라)을 목표영상(입력영상)으로 만들기 위한 변형함수를 구하는 문제다. 이는 투영과 병렬로 정교한 신경회로망 모델에 카메라영상과 입력영상을 입력하여 일정시간 학습과정을 통해 원하는 직물도(texture map)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저자
Bimber,O.;Emmerling,A.;Klemmer,T.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05
권(호)
38(1)
잡지명
IEEE computer society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48~55
분석자
신*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