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바이오에너지 프로젝트 실현에 기여하는 사회-경제적 선도자들(Socio-economic drivers in implementing bioenergy projects)

전문가 제언
□ 재생 가능 에너지는 대기 중에 온실 가스의 방출이 거의 없고(바이오매스의 연소에도 이산화탄소는 대기 중으로 방출된다. 그러나 이 탄소는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식물이 흡수하여 탄소동화작용에 의해 태양 에너지로 고정화한 것이다. 따라서 그 근원이 대기로서 대기 중 방출로 보지 않고 자연계의 탄소의 순환으로 본다.) 공해가 적으며 고갈될 염려가 없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 그러나 재생 가능한 에너지는 에너지 원단위로 비교할 때 화석연료나 원자력보다 가격이 높은 단점이 있다. 또 일반적으로 규모가 작아 대규모로 전기 등의 편리한 2차 에너지로 전환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 앞에서 말한 장점을 살리기 위하여 각국 정부는 보조금이나 전기회사에 일정 할당량을 강제구매하게 하고 있다.

□ 본문은 바이오에너지의 생산과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한 동기로서 이 바이오에너지가 주는 사회-경제적 효과를 논하고 있다. 즉 에너지 수급의 안정화와 석유 수입에 필요한 외화의 절약, 그리고 그 경제적 효용으로 고용의 증가와 지역 주민의 소득의 향상을 들고 있다.

□ 본문에서 받은 인상은 개발도상국에서 바이오에너지의 사용 방식에 대한 것이다. 그들은 이 연료를 수집하고 운반하기 위한 장시간의 노동과 그 비효율적이고 실내 오염에 노출되는 사용방식이 문제이다. 1960년대 우리나라도 이들과 같은 형편이었다. 이 때에 전국의 산은 모두 민둥산으로 되어가고 이에 따른 가뭄과 홍수의 피해에 속수무책이었다. 이를 극복한 것은 각 탄광의 증산운동으로 농촌까지 연탄을 공급한 것이 사막화 직전까지 갔던 우리나라에서 산림녹화에 성공한 이유이다.

□ 여기에서도 경제성은 적용된다. 즉 하루 종일 나무를 하는 것보다 그 시간 다른 노동으로 받은 임금으로 연탄을 사서 사용하는 것이 훨씬 더 경제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본문에서 말한 개발도상국의 재래식 바이오에너지 사용의 현대화는 곧 우리나라의 예에서도 발견된다.
저자
J. Domac, K. Richards, S. Risovic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5
권(호)
28
잡지명
Biomass and Bio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97~106
분석자
김*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