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정화와 환경복구를 위한 미생물 다양성의 이용(Accessing microbial diversity for bioremediation and environmental restoration)
- 전문가 제언
-
□ 생물정화 산업은 끊임없이 빠르게 발전하여 오염물을 생물정화 할 수 있는 자연에 지역적으로 존재하는 미생물의 발견에서부터 이들을 확인, 분리하여 실제 사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박테리아, 곰팡이 제품들을 생산하고 있는 단계에 있다. 이 제품들은 농축액, 분말상태로 판매되고 있다. 이들 생물정화방법은 미생물제제로 탄수화물 등의 누출과 분해 성 유기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인(P) 성분의 레벨을 낮추며 미생물 보조제와 촉진제를 첨가하여 토양의 조건을 회복하는 것이다.
□ 대부분의 환경 내에는 많은 다른 종류의 미생물들이 존재하여 독성물질들이 이미 같이 존재하는 미생물에 의하여 분해되고 있다. 유류나 농약들은 자연 토양, 연못 등에 존재하는 미생물에게 먹이가 되고 있다. 때문에 독성물질을 토양에 매립하는 것이며 소량의 농약은 해가 되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이러한 자연 생물정화는 아주 서서히 일어난다. 따라서 이들을 가속화시키기 위하여 건지(사막 등)에서 자라는 미생물에게는 물을 제공하고 공기가 희박한(늪지 등) 곳에서 독성물질을 서서히 분해하는 미생물에게는 산소를 제공하거나 미생물 수가 적은 곳에 화학제품(주로 비료)을 주어 그 수를 늘리기도 한다.
□ 이와 같은 생물정화방법은 아직은 미생물 다양성의 일부만, 즉 대사하는 배양 가능한 미생물만을 이용하는 것이어서, 알려진 미생물에 의하여 거의 분해되지 않는 다루기 힘들고 비생체 오염물들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중요시하지 않은, 그리고 배양되지 않는 미생물들을 개척해 그 특성을 확인하고 이용하여야 한다. 분자유전학적 발전과 합리적인 지식에 기반한 단백질 변형방법은 환경복구를 위하여 ‘설계된 바이오촉매’를 생분해에 사용할 수 있게끔 하였다. 그리하여 유전자조작된 미생물을 사용하게 되었으나 이들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미지수여서 오염물을 분해한 후 즉시 사멸되는 억제조건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 저자
- Paul, D; Pandey, G; Pandey, J; Jain, RK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5
- 권(호)
- 23(3)
- 잡지명
- Trends in Bio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35~142
- 분석자
- 이*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