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새에 의한 조류 인플루엔자의 전파
- 전문가 제언
-
□ 일본에서 지난겨울에 발생한 조류 인플루엔자로 일본 전체에 대소동이 벌어지고, 그 병원체인 바이러스가 철새를 통해서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지난 3월에는 양계장에서 2차 감염이 된 것으로 보이는 까마귀가 차례로 죽어, 야생조류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이 글은 앞으로 또 다시 이러한 사태가 발생할 경우의 대비를 위하여 조류에 초점을 맞추어서 현재까지 알려진 사실과 불명확한 사실 등을 정리하고 개략적인 검토를 한 글이다.
□ 저병원성의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철새를 통해서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어떠한 생활환경을 갖고 있으며, 닭의 고병원성 바이러스는 철새가 옮기는 저병원성 바이러스와 어떠한 관계에 있는 것인지, 그리고 왜 닭은 고병원성이 되는 것인지, 국경을 넘어서 바이러스를 운반해와 우리에게 위험을 끼친 원인은 무엇인지, 이러한 바이러스로부터 우리를 보호하고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하는지, 등에 관해서 앞으로 자세한 연구가 필요하다.
□ 야생조류가 갖는 저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집오리나 칠면조 등의 가금류를 통해서 닭에 감염되고, 세대교체를 되풀이 하는 동안에 고병원성으로의 유전자 변위가 이루어지며, 이것이 확산되어서 사람에게까지 해를 끼친다. 더불어 열악한 조건 하에서 조류의 생육 판매 시장이 형성되어 있는 동남아나 중국 등으로부터의 물류와 인적 이동에도 그 초점을 맞추게 되어 현재로서는 확정적인 특정 경로의 판단이 불명확한 상태이다.
□ 미국의 경우는 야생동물의 감염증이나, 인수 공통감염증 제어에 대한 대책을 정부기관이 체계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이들 여러 기관의 다양한 협력연구의 성과가 야생동물을 보호하고, 인수 공통감염증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예방 및 치료법의 조기 개발을 가능하게 하므로, 생태계 보전과 공중위생 및 축산과 식품안전에 큰 공헌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더 늦기 전에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문제에 관해서 관계기관에서 관심이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Higuchi H. ; Watanabe Y.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05
- 권(호)
- 75(1)
- 잡지명
- 과학(A00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43~47
- 분석자
- 차*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