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차세대 여객기의 주요 시스템 개요
- 전문가 제언
-
□ B7E7 항공기는 기존여객기 B777급 항공기 성능 및 제원을 동등하게 유지하면서 주요시스템인 Engine Bleeding System을 No Bleeding System으로 바꾸고, 유압계통도 유압브레이크 시스템을 전기브레이크 시스템으로 변경하였다. 또한, 중량감소 효과가 있는 압력배관과 DC 전기모터펌프 등으로 개량, 연료탱크 및 액체냉각계통을 개선시킴은 물론 기체에도 금속재료를 비금속재료인 복합재료로 전 중량비에 약 50%까지 대체하는 것으로 개발 추진되고 있다. 따라서 B7E7항공기는 연비절감과 소음개선, 중량감소 및 승객에 대한 쾌적성도 고려하여 설계 제작되는 획기적인 신기술을 가미한 최신여객기로서 탄생될 것으로 본다.
□ B7E7항공기에 대한 일본의 개발계획은 2002~2008년까지 개발기간을 6년으로 보고 단거리용 B7E7-3항공기와 장거리용 B7E7-8항공기를 신규개발 완료하여 B767후속기로서 2008년에 취항할 예정으로 되어있다.
□ 여기서 파악할 수 있는 교훈은 우리나라도 항공기 신규도입과 항공기개발계획을 할 때 국제 또는 국내 항공기운송노선거리를 고려하여 즉 단거리, 중거리 및 장거리 운항에 따른 항공기 항속거리와 승객 수 등에 적합한 항공기를 채택하여 도입 및 개발을 한다면 운항효율향상은 물론 경제적 측면에서의 획기적인 예산절감이 있기 때문에 필요시 참고하여 검토하면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 저자
- Matsubara Hideak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5
- 권(호)
- (598)
- 잡지명
- 항공기술(A08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24~29
- 분석자
- 김*옥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