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동차의 에너지와 환경문제(Energy and Envionmental Problems on Vehicles)

전문가 제언
□ 1997년 일본 Kyoto에서 개최되었던, 기후변동의 대책에 대한 조약 제 3회 체결국 회의에서, 온실효과 가스의 삭감수치 목표가 설정이 되었던 것이나, 2005년 2월이 되어서야 러시아의 Kyoto의정서 비준으로 동 의정서가 발효되어, 지구온난화 방지에 관한 움직임이 특히 선진국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일본 미국 유럽은 2005~2008년에 걸친 배기가스의 규제 강화와 도시 대기오염의 저감을 위한 수치결정이 마무리된 것이다.

□ 대기오염의 가장 큰 주범의 하나가 자동차의 배출가스임은 주지할 사실이다. 이 배출가스의 저감은 곧 연비향상에 의한 연료의 절약과 CO2의 감소로 직결되는 것이고, 또한 NOx와 PM 등의 대기 환경오염 방지에 기여하는 것이다,

□ 전 세계의 자동차 대수는 2002년에 약 8.1억대, 인구 1,000명당 129대의 수준이다. 현재는 주로 유럽,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이 대부분을 점하고 있으나, 중국도 2010년에는 일본을 재치고, 세계 제 2위의 자동차 생산국이 되어, 2020년엔 1.5억대, 2030년에는 3억대를 보유하는 세계 제 1위가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 외에도, 중진국과 개발도상국까지 모타리세이션(motorization)의 물결을 타고, 세계의 자동차 보유 대수는 상상을 초월하는 수준까지 증가할 것으로 보여 진다. 이와 병행하여서 연료소비가 무섭게 증가할 것은 명약관화한 일이며, 이 때문에 자동차의 연비 규제와 배출가스의 규제는 세계 각국의 공통적인 절대과제로 등장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는 이에 대응하기 위한 각국의 적극적인 정책적 의지와 함께 특히 선진국은 이때까지 축적해 놓은 기술과 방법을 개발도상국에 아낌없이 공급해 주어야 한다고 보는 것이다.

□ 우리나라는 당장 CO2 가스의 삭감의무 대상국은 아니지만, 수 년 이내에 닥쳐올 이 심각한 문제에 대비하기 위해서라도, 정책적인 제도적 대비는 물론이거니와 자동차의 연비향상과 배출가스 저감을 위한 요소기술의 개발, 즉 연료성분의 개량, 엔진성능의 향상, 차체의 경량화를 위한 구조와 부품 및 소재개발에 주력해야 하는 한편, 연료전지차나 전기자동차 등의 청정에너지 차의 개발을 촉진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바이다.
저자
Kiyoyuki Minat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05
권(호)
59(2)
잡지명
자동차기술(A081)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4~9
분석자
차*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