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배기가스 정화 시스템의 촉매 역할과 전망(After-treatment System of Motor Vehicle Emissions : Catalyst)
- 전문가 제언
-
□ 가솔린 자동차는 3원 촉매(three way catalyst)의 고성능화로 환경오염 부하를 줄이는데 크게 공헌하였다. 3원 촉매의 성능 향상을 위한 이론 공연비(air fuel ratio) 운전은 지구온난화 방지(CO2 감소) 대책과 직결되는 연비성능 개선에 기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직접분사 엔진의 개발과 공연비의 희박화(lean)가 추진되었다. 디젤 엔진은 연비성능이 우수하여, 지구환경 측면에서는 우수한 엔진이지만 가솔린 자동차에 사용되고 있는 3원 촉매를 디젤 엔진에 적용할 수 없기 때문에 엔진 개량을 위한 연구, 개발이 되어왔다. 최근에는 산화촉매나 디젤용 입자필터(DPF, Diesel Particulate Filter)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추진되어 각종 NOx 촉매 개발로 배기가스정화 시스템이 실용화되었다. 여기에 가솔린 및 디젤 자동차의 배기가스처리 시스템에 사용되고 있는 촉매의 역할과 과제 및 전망에 관한 기술은 관련분야 연구에 많은 참고가 될 것이다.
□ 자동차 배기가스 규제의 강화에 따른 3원 촉매 배기가스정화 장치는 오염방지에 큰 역할을 하고 있지만 촉매 열화(catalyst deterioration)에 의한 성능 감소가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서 최근 배기가스 규제 중에는 촉매와 관련된 미국의 자동차 탑재 자기진단장치(OBRD-2, On Board Diagnostics) 규제는 촉매 열화 상태를 확인하는 자기진단이 가능한 시스템을 의무화하는 추세에 있다. 우리나라도 이에 대한 촉매 열화 억제대책과 자기진단 기능에 대한 연구가 적극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Hideaki Murak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5
- 권(호)
- 59(2)
- 잡지명
- 자동차기술(A08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65~69
- 분석자
- 정*원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