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정밀연삭기술의 개선과 대책

전문가 제언
□ 나노기술의 발전과 쾌적한 환경(특히 진동, 소음)을 위해서도, 초정밀도와 가공 능률을 향상할 수 있는 연마기술이 요구된다. 특히, 기계부품 가공의 마지막 공정을 담당하는 연삭가공에 대하여 끊임없이 초정밀도를 요구하므로 현재의 실태를 파악하고 개선점을 모색한 후 이것을 개발하여 요구를 충족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 일본은 오래전부터 끊임없이 새로운 연삭기술의 개발을 위하여 많은 모델을 실험을 한 연구결과로 정밀부품 산업을 크게 발전시켜오고 있다. 1년 이상 연제되고 있는 연삭기술 자료 일부(연제 14호)의 내용을 분석한 것으로, 기존 숫돌방식에서 연삭기술의 정밀도 한계를 구조적이고 역학적으로 설명한 것이며, 새로운 신기술이 소개되지 않아 아쉬움이 남는다.

□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숫돌입자와 트루잉과 드레싱을 이용한 연삭기술은 취성파괴 제거가공으로, 자생 절삭날형과 운동전사형 연삭 메카니즘으로 되어 있고, 또 최소 재료 제거율이 존재하므로, 연삭개시 설정 절삭 깊이(치수와 형상 창성 분해능력)의 한계성과 절삭깊이 미세화의 한계성, 지지강성의 한계성과 운동전사 정도에 한계가 존재하므로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다.

□ 연삭면의 조도, 절삭성 그리고 숫돌의 내마모성으로 나타나는 연삭기능은 트루잉과 드레싱을 한 직후의 과도기와 준정상기를 거처 정상 연삭에 이르기까지 변화하므로 정상적인 정밀도를 예측하기 어렵고, 또 기능적으로도 일관되게 제어하는 것도 곤란하며, 연삭가공의 인과율에도 방해되어 정밀연삭의 한계로 나타난다.

□ 이런 문제들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숫돌입자의 미세화, 결합도와 조직도의 향상, 숫돌과 공작물의 지지강성을 높이는 반면 초경질 연마제를 이용한 in process Dressing의 기술과 유리(遊離)연마제 가공기술 및 광촉매를 이용한 경면 정밀연삭 기술 등 드레싱을 하지 않아도 가능한 신기술의 개발을 지속적이고 친환경적으로 지속되기를 요망한다.
저자
MIYASHITA, Masakazu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05
권(호)
49(2)
잡지명
기계와 공구(A060)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104~108
분석자
박*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