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 가공의 고효율화를 실현하는 IT 솔루션) 생산 솔루션으로서의 네트워크 기술
- 전문가 제언
-
□ 생산 시스템의 변천 과정을 살펴보면 1950년대 초반에 NC 공작기계가 개발됨으로써 ‘점의 자동화’가 이룩되었고, 1960년대 후반부터 고도의 자동화와 유연성이 요구되어 DNC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선의 자동화’로 그리고 1970년대 후반부터 MC를 중심으로 한 FMS가 구축되어 ‘면의 자동화’로 확장되었다. 1990년대 후반의 FA와 CIM의 완성은 정보의 흐름과 물건의 흐름을 동기화시키는 ‘실공간의 자동화’로 이어졌고, 그 이후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에 의한 가상 생산 기술의 ‘가상 · 실공간의 통합화’로 발전되어 왔다.
□ 오픈 네트워크의 현상으로 IEC 62264-1 Enterprise-control system integration-Part 1에서는 생산 시스템의 아키텍처를 계층적으로 구축하고 있다. 즉, 최하위 레벨인 레벨 0은 개별장치, 레벨 1은 스테이션, 레벨 2를 셀, 레벨 3은 생산 관리를 주로 하는 생산 실행, 레벨 4는 판매나 로지스틱을 주로 하는 경영 계획이다.
□ 오픈 네트워크의 생산 지원으로 첫째, 일본 최초의 개방적인 제어 레벨 네트워크로 개발된 것이 일본 전기공업회의 FL-net이며, 이외의 프로토콜 스펙은 JIS B3521로 이미 규격화되어 있다. 둘째, 산업용 로봇을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의 개방적인 인터페이스로 개발된 것이 ORiN 협의회의 ORiN이며, 로봇/FA 네트워크 미들웨어로 이용이 진전되고 있다. 셋째,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등에서 정보 교환형식으로 진전된 것이 FA 오픈 추진협의회나 제조업 XML 추진협의회 등에서 제안한 XML이며, 생산 현장에서 정보 교환을 위해 적극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 네트워크의 통합화로 앞으로는 더욱더 개방적인 네트워크의 개발과 PC 베이스의 관리 및 제어 등이 진전할 것이 예측되므로 관리정보계(개방화 · 표준화)의 네트워크와 제어계(기술정보 · 원격 I/O계 포함)의 네트워크 통합이 기대된다. 또한 앞으로는 정보 환경을 이용한 CALS, SCM, VE 등의 생산활동 지원 시스템의 도입과 가상 환경을 이용한 가상공장(VF)에 의한 생산도 한층 진전되어 갈 것으로 기대된다.
- 저자
- KANDA Yuich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5
- 권(호)
- 49(2)
- 잡지명
- 기계와 공구(A06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14~18
- 분석자
- 이*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