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음파법을 이용한 생체 해면골의 역학적 건전성 평가(Assessment of Mechanical Integrity of in Vivo Bone Using Ultrasonic Wave)
- 전문가 제언
-
□ 초음파를 활용한 여러 가지의 측정기기가 산업 분야에서 매우 오래 전부터 유용하게 사용되어 왔다. 비파괴시험으로의 결함 탐상장치, 볼트장력 측정기, 어군 탐지기 및 초음파 용접, 초음파 모터 등 헤아릴 수 없을 정도이다. 이제는 인체 진단 및 시술을 위하여 개발된 첨단 의료용 기기로 초음파의 활용은 해마다 눈부시게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 골다공증(osteoporosis)이라는 용어는 일반 사람에게는 많이 듣고 보아서 익숙한 단어이지만 골조송증(骨組鬆症)이란 말은 생소한 사람이 많을 것이다. 같은 질환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골다공증으로 불리고 있다. 이 증상은 골(bone)의 크기나 용적은 같아도 골밀도 자체가 매우 적어진 상태의 질환이다. 이런 상태는 호르몬 질환 등 여러 질환의 증세로도 생기지만 보통은 골 노화 현상으로 생긴 것이다. 골절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계층은 폐경 후 50세 이상의 여성에게 많다. 골절의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는 에스트로겐(oestrogen)이라는 호르몬의 부족, 기타 운동 부족, 칼슘과 단백질 부족, 당뇨병, 흡연 및 알코올 중독 등에서 오는 경우가 많다.
□ 미국에서는 해마다 약 20만 명의 여성들이 좌골 골절상을 입는다고 한다. 이들은 대부분 나이가 들고 골다공증 질환을 가지고 있다. 1960년대까지만 해도 골다공증은 좌골 골절상이나 척추 손상이 있기까지는 발견하기가 어려웠다. 발견하여도 이미 때 늦게 병원에 오기 때문에 예방할 수 없었다. 골 강도는 골염량(BMD, Bone Mineral Density, 골 미네랄이라고도 함)에 비례한다. 인체의 경우 골염량은 매년 1~2%씩 감소하기 때문에 그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매우 정밀한 기술적인 요소가 필요하다.
□ BMD를 인종별로 조사한 바에 의하면 ‘흑인>백인>황색인’의 순서라 고 한다. 흑인이나 백인들보다 우리나라의 노인 특히, 여성 고령자들에게 있어 노후의 질 좋은 삶을 위해서는 골다공증에 대한 특별한 관심을 갖고 건강관리를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저자
- Fumio NOGAT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5
- 권(호)
- 40(2)
- 잡지명
- 설계공학(D12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54~58
- 분석자
- 심*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