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기하공차의 해석과 삼차원 측정기의 불확도 평가(Explanation of Geometrical Torelances and Uncertainty of Measurement in Coordinate Metrology)

전문가 제언
□ 현실적으로 측정을 완벽한 조건으로 한다 하여도 참값을 구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것이다. 측정의 결과에 대하여 신뢰성을 정량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으로 오차(error)와 불확도(uncertainty)라는 말이 있다. 오차라는 말은 많이 들었어도 불확도라는 용어는 들어보지 않은 사람이 많을 것이다. 오차는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측정값의 결과와 참값과의 차이를 말하고, 불확도라는 것은 측정결과에 대한 의문을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의문이라고 하는 것은 참값이 들어가는 “범위가 어느 정도 큰가?” 하는 것과 “그 범위는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는가? “ 하는 두 가지 의문이다.

□ 산업 경제의 세계화가 진전됨에 따라 서로 다른 국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측정결과를 쉽게 비교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게 되었다. 이러한 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많은 관련 기관 및 국제기구들에 의해 통일된 규범의 제정을 모색하게 되었다. 10여년의 작업을 통하여 국제도량형위원회(CIPM)는 국제도량형국(BIPM),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국제상임화학위원회(IFCC), 국제표준화기구(ISO), 국제순수 및 응용화학연합회(IUPAC), 국제순수 및 응용물리연합회(IUPAP), 국제법정계량기구(OIML), 등 각 분야를 대표하는 국제기구와 각국의 표준기관과의 공동으로 1993년에 “Guide to the Expression of Uncertainty in Measure -ment, ISO"라는 불확도의 표현 지침서를 제정하게 되었다. 산업이나 상업분야에서도 불확도의 개념이 확대 적용될 수 있도록 제정되었으므로 앞으로는 오차보다는 불확도라는 용어를 사용하여야 할 것이다.

□ 기하공차라는 용어는 세계 2차 대전 이후에 생겨난 용어로 그 이전에는 도면상에 규제되지도 않았고 작업자의 경험과 판단에 일임하였다. 그러나 차츰 고정밀도와 다량생산화 되어감에 따라 호환성, 평준화, 생산성 및 품질 등에 문제가 생기면서 적합한 규제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1956년 미국 표준협회 ANSI Y14.5를 시발로 하여, 미국 국방규격 MIL-STD-8C을 거쳐, 1969년 국제표준화기구에서 ISO 1101 geometrical tolerance를 제정하였고 우리나라도 이에 준하여 1987년 KS B 0508 기하공차의 도시방법을 제정하였다.
저자
Kiyoshi TAKAMASU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05
권(호)
40(2)
잡지명
설계공학(D122)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79~85
분석자
심*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