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의 공작기계 산업
- 전문가 제언
-
□ 기술적인 우위성은 최첨단 제품개발을 위한 기본적인 조건이다. 혁신적인 개념의 기술개발에 성공한 기업은 평균 이상의 가격을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술 혁신의 개발과 기술의 혼성 공정 등으로 새로운 첨단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 기본적인 혁신의 한 예로서 직접 레이저 성형(DLF)의 공정은 순금속 분말을 용해하고, 결합재를 사용 않고 작은 구멍조차 없는 균질한 금속 구조체를 형성한다. 복잡한 형상의 공작물도, 캐드(CAD) 모형에서 단시간 내에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 혼성물 · 공정의 한 예로, 레이저를 사용한 열 가공의 혁신적인 제조 기술은 새로운 기계 가공의 세계를 개척하는 것이고, 따라서 극한 세라믹스에도 새로운 용도를 개척한다. 레이저 지원 선삭은 극한 세라믹스제의 단단한 가공 소결 부품 기술의 교체와 그 범위를 확대하는 것이다.
□ 장래의 전망은 신기술을 제어할 수 있는 컴퓨터 지원 공구의 사용 실현은 다용도의 발전에 결정적으로 지원한다. 또한 실질적 본체(virtual reality) 공구와 생산 시뮬레이션에 있어서 눈부신 발전이다. 유럽의 2010년 차세대의 장래의 전망은 정보통신 및 제어기술, Virtual Production, 고성능 주변장치와 Chucking 시스템, 신 생산 공정기술, 신개념 기계와 시스템, 고속 · 고품질 · 공정안정의 개발의 목표로 삼는다.
□ 한국공작기계 산업계의 신사업의 개척은 국내 IT와 측정산업에 호응하여 소형 정밀가공용 공작기계 개발, 마그네슘 · 세라믹 등의 신소재 가공용 공작기계 개발, 반도체 전후공정의 초정밀 이송장치 및 자동화 시스템 개발, 서비스 시험분야의 확대 등의 차세대 사업으로 많은 노력과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F. Klocke ; M. Meinecke ; J. von Bodenhause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5
- 권(호)
- 49(2)
- 잡지명
- 기계와 공구(A06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92~96
- 분석자
- 남*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