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새로운 제진 합금의 특성과 사용 방법

전문가 제언
□ 진동은 소음발생의 원인이 되고, 정밀부품의 가공정도에 어려움을 야기 시키기도 하고, 정밀한 물리 측정에 문제가 되기도 한다. 또한 공명진동으로 예기치 못했던 사태가 초래되기도 한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기기의 강체화, 진동 발생원의 차단 등 주로 설계상의 배려로 어느 정도의 효과를 올리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는 한계가 있으며 제진재료를 사용하여 효율을 높이고 있다.

□ 여기서 설명한 새로운 제진재료(M2052)는 원자 비율로 Mn 73%, Cu 20%, Ni 5%, Fe 2%의 합금으로 M은 Mn의 M, 20은 Cu의 20, 5는 Ni의 5, 2는 Fe의 2%를 합금한 것이다.

□ 이 합금은 자동차에 쓰임이 많고 고무를 사용하는 곳에 대체하여 쓰이기도 하고, CD의 소음개선, 펌프의 진동억제, 인젝터의 소음 저감, 기타 나사 풀림 방지 등으로 그 이용도는 점점 늘고 있는 실정이다.

□ 상업연구원의 「신소재 산업의 지식 경쟁력 강화 방안」자료에 의하면 2003년 이후의 장단기 유망 신소재 중에 초내열합금, 경량엔진합금, 내방사선재료, 희토류 영구자석과 함께 제진합금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세계 신소재 시장규모를 보면 1997년에 2,144억 달러, 2000년에 3,281억 달러, 2003년에 4,931억 달러로 전년대비 매년 14.4~15.3%로 신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이와 같이 앞으로 신소재 수요는 급증할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제진방지용 합금의 수요처가 점점 많아져 수요량은 위의 성장 속도를 앞지를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이런 용도의 재료개발이 안된 것으로 보인다. 서둘러 개발해야 할 것이다. 상업용으로는 자동차 엔진의 마운팅, 공작기계의 체결부위 나사, 토목공사용 중장비 등에 수요가 급진적으로 늘어날 것이며 나사 이완이 적어 정기적인 보수도 수월해 질 것으로 보인다.
저자
KAWAHARA, Kohj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5
권(호)
49(1)
잡지명
기계와 공구(A060)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92~100
분석자
이*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