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유리의 접합가공(Welding of bulk metallic glasses)
- 전문가 제언
-
□ 합금의 비열이 어느 온도에 이르면 불연속적으로 변화하여 유리 천이현상을 나타내는 금속유리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고체상태에서 과냉각 액체와 결정을 거쳐 액체로 변한다. 따라서 급속가열과 급속냉각의 열 사이클 특성을 갖는 용접공정을 사용하여 금속유리를 접합하는 경우에는 온도의 변화에 따른 상변화의 거동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 고강도, 고탄성한도, 낮은 영률을 갖고 점성유동 가공성이 우수한 금속유리는 새로운 나노 소재로서 기대가 된다. 그러나 금속유리는 결정화라는 접합의 장애 요인을 갖고 있으며 성공적인 접합을 위해서는 결정화를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금속유리의 응용범위를 넓히기 위해서는 동종의 금속유리, 이종의 금속유리, 그리고 금속유리와 결정재료간의 용접성(weldability)을 개발하여 금속유리의 접합기술을 확립하는 것이 불가결하다.
□ 재료의 용접성에는 구조적인 특성(welding safety, state of stress)을 검토해야 한다. Zr55Al10Ni5Cu30 금속유리의 경우 변형속도가 크면 응력이 증가(stress overshoot)하여 피크를 보이고 응력이 완화된 후에 정상상태에 도달하여 균일변형으로 진행하는 거동을 보인다. 따라서 금속유리 접합부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양한 응력 환경에서 파괴거동을 분석하고 최적의 접합강도를 산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 본고에서 정리한 ‘금속유리의 접합가공’에 관한 기술 정보는 부가가치가 높은 금속유리 소재의 용접 특성을 분석하고 첨단소재의 용접/접합 기술을 개발하는데 좋은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KAWAMURA Yoshihit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5
- 권(호)
- 75(2)
- 잡지명
- 금속(A11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13~120
- 분석자
- 김*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