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금속의 유리 형성능력 및 제조기술(Glass-forming ability and the process technology for the preparation in bulk metallic glasses)

전문가 제언
□ 21세기의 자동차, 선박, 항공기, 우주선, 정보통신산업 등은 여러 복합기능을 가진 혁신 재료를 필요로 하며 기존의 재료 보다 그 특성이 대폭 향상된 새로운 극한재료의 개발을 요구하고 있다.

□ 금속유리는 이러한 미래의 산업계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보산업으로부터 군수산업에 이르기까지 그 응용 범위가 광범위하다.

□ 특히 자동차, 항공기산업 등에 있어서 경량재료로 활용되는 알루미늄 합금의 경우 기존의 경량성을 유지하면서 철강 재료를 능가하는 강도를 갖거나, 세라믹 재료에 비견되는 내마모성, 내부식성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 자성재료가 박막이 아닌 벌크 형태로 우수한 자기적 특성을 갖는다면 정보산업 분야에서 소재 활용의 한계를 획기적으로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 이와 같이 기존의 한계를 뛰어넘는 재료의 설계가 이루어지면 제품 혹은 부품의 요구 특성에 맞춘 재료의 설계, 즉 맞춤식 재료설계의 개념을 도입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금속유리는 아직 연구, 개발 단계에 머물러 있다.

□ Nishiyama 등이 제조한 비정질 금속유리 Pd-Cu-Ni-P 합금은 다른 금속유리와는 달리 광범위한 조성영역에서 유리 형성능력이 좋아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 금형주조법에 의하여 합금유리로 제조, 판매된 골프 클럽은 금속유리의 성공적인 실용 사례의 대표적인 것으로 보인다. 가벼우며 제진효과(制振效果)도 겸비한 새로운 골프 장비로 기대된다.

□ 한국에서 비정질 금속유리는 RIST 등에서 연구되고 있으나, 아직 시작된 단계에 머물러 있다. 이에 대한 관심이 촉구되어야 할 것이다.
저자
NISHIYAMA Nobuyuki ; YOKOYAMA Yoshihiko ; INOUE Akihis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5
권(호)
75(1)
잡지명
금속(A112)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2~16
분석자
최*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