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부식전위의 측정(Measurement of Corrosion Potential)

전문가 제언
□ 금속이 부식 환경에 놓이면 전자(電子)가 관여하는 전기화학 반응에 의해 산화물로 변화한다. 특정한 부위가 정상이 아닌 부식속도로 소모되는 불균일부식의 거동의 해석과 제어에는 부식전위/분극곡선의 측정과 부식 발생기구의 해석, 그리고 전기화학적 부식거동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 금속재료의 부식은 구조물의 건전성과 수명에 많은 영향을 주며, 부식 손상을 입은 구조물을 보수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있다. 이와 같은 부식을 방지하고 구조물의 내부식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재료, 용접, 파괴역학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부식을 규명하고 부식방지 기술을 개발하는데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 용접구조물은 제작과정에서 열적인 변화를 겪은 용접열영향부, 합금성분을 많이 함유한 용접금속, 그리고 열 영향을 전혀 받지 않은 모재원질부로 구성된 이종금속 접합부로서 부식 환경에서 전기화학적 반응이 용이하게 발생한다. 예를 들면, SWS 400 용접압연강재로 제작한 교량의 경우 산성비의 pH가 6이하로 되면 부식이 가속화되고 전면부식이 일어나며 부동태 피막을 만들지 않는 활성화 부식이 발생한다. 또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용접부는 결정립계의 Cr이 탄화물로 석출되고 Cr이 결핍되어 입계부식이 발생하는 등 부식의 공격을 최우선적으로 받는 상태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용접구조물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용접모재, 용접재료, 요접공정, 그리고 용접후열처리 등을 면밀히 검토하여 내식성이 향상되는 최적의 용접시공 조건을 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 본고에서 기술한 입계부식, 공식, 틈새부식 등에 대한 전기화학적 거동과 부식전위 측정과 관련되는 기술 내용은 금속재료의 부식거동을 이해하고 방식기술을 수립하는데 유익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저자
Osami Ser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5
권(호)
77(2)
잡지명
주조공학(C058)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37~141
분석자
김*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