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동차 기술동향과 특수강의 적용확대

전문가 제언
□ 자동차는 현대사회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이며, 사회가 자동차에 요구하는 것도 점점 더 다양화되고, 승차자, 보행자 보호 차원에서 안전성 확보란 점에서도 요구가 대단히 엄격해지고 있다. 또한 점점 더 높아지고 있는 지구 대기 환경 보전 운동이나 에너지 문제에 대응해야지 않으면 안 된다.

□ 자동차의 중량은 충돌 안전성 확보의 추구로 인하여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일본의 자동차 Mark Ⅱ를 보면 1968년에 전 차체 중량이 1,020kg이고 특수강의 비율이 14.3%이던 것이 2000년에는 차체 중량 1,371kg이고 특수강이 23.9%가 되고 있다. 여기서 특수강을 중량으로 표시하면 1968년에 145kg, 2000년에는 327kg으로 무려 2.3배나 늘고 있는 실정이다.

□ 자동차의 경량화와 안전성 확보로 특수강의 사용은 점점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특수강을 생산하는 업체는 포스코를 비롯해서 몇 업체가 안 되며 연간 생산양은 2002년 기준으로 602만 톤이다. 대부분의 자동차용 특수강은 거의 모두 생산되어 자급자족하고 있으나 아직도 일부분은 수입에 의존(가격 문제, 품질 문제, 수급 차질 등으로)하는 것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특수강 종류의 다양화, 제품 규격의 확대, 생산업체의 품질 안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본다.

□ 세계에서 자동차를 독자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나라는 10여개이며 이중에서 우리나라는 2001년에는 311만대 생산으로 세계 5위, 2002년에는 314만대로 6위 국가이다. 자동차 산업은 특수강 산업의 뒷받침 없이는 단독으로 발전하기 어려운 산업이다. 그러나 특수강은 거대한 자금이 소요되는 장치산업이며, 자금 회전이 늦어 채산성을 맞추기 어려운 산업으로 일본을 비롯하여 외국에서는 많은 특수강 업체가 도산되고 정리 합병되어 왔다. 우리나라도 같은 실정이다. 정부는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특수강 산업 육성 발전 방안을 마련하여 적극적으로 지원 육성하여야 한다고 생각된다.
저자
Mori Motohide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5
권(호)
54(1)
잡지명
특수강(M173)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8~22
분석자
이*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