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전제품의 동향과 금속재료의 전개
- 전문가 제언
-
□ 가전제품은 우리 의식주 생활을 쾌적하고 편리하게 삶을 풍요롭게 해주는 이기(利器)이다. 또한 1970년대부터 우리나라 산업발전과 수출산업을 주도 해왔던 주력산업 중의 하나다. 이러한 가전제품에 대한 동향과 소재 및 재료에 대하여 일본 Toshiba 가전제조(주)의 사례이다.
□ 냉장고에서는 구매 시 권장사항으로 에너지 절감, 등 환경배려, 선도유지, 탈취, 청결성, 사용 편리성을 들었다. 최근 10년간 1/5로 전기소비량이 감소됐는데 이것은 컴프레서와 냉각 사이클 개선, 인버터 제어적용 등과 함께 진공 단열재 채용결과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냉장고 내의 습도유지, 제균, 탈취기능 및 CA(Controled Amosphere) 저장기술과 외곽케이스 및 도어용 외장 강판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 세탁기에서는 구매 시 세정․건조성능, 에너지 절감․절수 등 환경고려, 사용의 편리성을 들었다. 세정력 향상을 위한 세탁드럼 회전의 DSP제어, 농축 세정방식과 1회 세탁 시 약134L의 물 사용량을 줄인 드럼방식 세탁기를 설명하였다. 기타 60℃이상의 건조용 열풍으로 의류에 부착한 잡균 제거와 세탁조 부착 곰팡이 억제기능과 DD(Direct Drive)모터 채용에 따른 저소음화 및 자성재료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 오븐렌지에서는 조리성능을 향상시키는 스팀기능 설명과 내열성과 청소성을 동시 만족시키는 표면처리 강판의 개발 필요성을 기술하였다. 식기세척기에서는 저렴한 방음재의 개발 필요성을, 보온밥솥에서는 내부솥의 재료 및 표면처리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가전 리사이클 기술과 유럽향 제품 적용, 유해 6물질 금지에 대한 대응 사항과 제품가치와 환경의 종합평가지수인「FACTOR-T」에 대해 설명하였다.
□ 이상 일본 Toshiba 가전제조(주)의 사례 내용이지만, 우리 제품의 용량(容量)이 일본보다 큰 것을 제외하면 유사한 점이 많으므로 관련분야의 전문가에게 어느 정도의 도움은 되리라 본다. 최근 한국은 중국 가전산업의 성장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가전제품은 인간의 필수제품으로서 수요는 지속될 것이므로 성능과 디자인 차별화 및 소재 부품의 혁신으로 경쟁력을 강화하여 주력산업으로의 발전을 기대한다.
- 저자
- Kubota Tooru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5
- 권(호)
- 54(1)
- 잡지명
- 특수강(M17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23~28
- 분석자
- 이*원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