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메조포러스물질의 특허출원동향(Research and Development Trend of the Mesoporous Material from the Viewpoint of the Patent Application)

전문가 제언
□ 1990년 Yanaigsawa들 및 1992년 Mobil사의 J.S. Beck들에 의한 메조포러스 물질의 합성,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의 Stucky교수그룹에 의한 주기성계면활성제/무기물의 복합재료합성 그리고 Pinnavaia에 의한 메조포러스분자체제조 등 이후 메조포러스에 관련된 연구 및 특허출원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 최근의 메조포러스 물질에 대한 미국특허동향을 보면 Pinnavaia 등이 출원한 US-2005074397(2005년 4월14일)은 초안정성 알루미노실리케이트구조물 즉 이온구조지향제를 사용하여 원형제올라이트시드로부터 유도된 메조포러스 육각, 입방, 라멜라, 웜홀, 다공질발포 아미노실리케이트, 갈로실리케이트 및 티타노실리케이트에 관한 것으로 이것은 구조에서 실리콘과 알루미늄, 갈륨이나 티타늄중심은 매우 안정하기 때문에 물이나 수증기의 존재 하에서 가열할 때 그 골격구조는 붕괴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 한국의 특허동향을 보면 한국화학연구원의 2004-0061184(2004년 7월7일)는 실온에서 고활성을 보이는 페놀의 수산화반응용 나노촉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의 2004-0063630(2004년 7월14일)은 고안정화 메조포러스제올라이트 허니컴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삼성전자의 2004-0043339(2004년 5월24일)는 새로운 제미니형 계면활성제 및 이를 이용한 메조포러스 물질의 제조방법, 포항공대의 2004-0015418(2004년 2월19일)은 메조포러스알루미나분자체 및 그의 제조방법 등이 출원되었다.

□ 국내에서 주형법에 의한 메조포러스 무기물의 합성과 나노 미세 구조의 조절에 관한 연구는 국내에서 KAIST, 부산대 등에서 되고 있으나 아직 활발하게 특허출원이 이뤄질 정도는 아니며 메조포러스 물질은 균일한 크기의 구멍을 가진 다공성재료로서 흡수제나 촉매제로 이용하기에 적당하기 때문에 이들 물질의 제조방법에 관한 출원은 물론 이들의 이용에 관한 용도특허출원도 더욱 활발할 것으로 기대한다.
저자
Shinsuke ARAI ; Toshinori OKUR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5
권(호)
12(314)
잡지명
Journal of the society of inorganic materials-Japan(A036)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62~78
분석자
성*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