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도 공구강의 합금원소와 탄화물
- 전문가 제언
-
□ 고속도강은 1900년 미국의 Taylor와 White가 1% C-W-Cr강을 용융 개시점 직하의 고온으로부터 담금질한 후, 뜨임작업으로 고속도 절삭에 견딜 수 있는 고온 경도를 가진 강 제조에 성공하였다. 그 후 많은 연구로 개량되어 18-4-1형(Fe-18%W-4%Cr-1%V)의 표준강종이 출현되었다.
□ 담금질 온도와 경도에 따른 충격치의 관계에서 보다 높은 경도를 나타내는 강종은 합금 원소 량과 탄화물양이 많으며, 인성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고속도강의 선택에서는 제조법을 포함하여 강종선택과 함께 목적에 적합한 열처리 조건의 선택이 중요하다.
□ 제조방법으로는 주단조법, 분말 야금법 및 분무주조법이 있으며, 초기에는 주단조법이 주 제조공법이었으나 근래에 와서는 분말 야금법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이 공법은 품질은 우수하나 공법상 원가 상승의 요인이 많아 최근에는 분무 주조법(Spray Forming Process)으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 이 공법은 영국의 Osprey Metal의 특허로 묶여 비공개된 것이나 다름없으나 1994년에 Posco에서 이 회사로부터 연구개발에 대한 라이선스를 취득하여 국산화 및 상업화를 추진하였다.
□ 고속도강은 그 이름에서 오는 이미지로 절삭가공용 공구강으로 쓰임이 많은 것으로 보여 지나, 이 강은 금형형제, 압연용 롤 등으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용도가 다양하다. 특히 우리나라 특허 출원 현황을 보면 수십 건으로 그중 사용 용도에 관한 것이 33%, 열처리 및 재질에 대한 것이 13%,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 53%로 다양하다. 뿐만 아니라 이 분야에는 학위논문도 많은 것으로 보아 관심이 많은 분야이다
□ 공구강은 같은 재료라도 사용하기 전에 가공 후 열처리 방법에 따라 그 사용 수명에 많은 차이가 있다. 이에 대한 열처리 교육이 대단히 중요하다고 본다. 중소기업진흥공단이나, 중기청 및 이와 관련이 있는 학회가 중심이 되어 주기적인 반복 교육으로 열처리 기술향상을 시키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 저자
- Hirosuke Tabe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5
- 권(호)
- 20(2)
- 잡지명
- 형기술(N098)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99~104
- 분석자
- 이*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