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로라 키나제와 암(Aurora Kinases and Cancer)
- 전문가 제언
-
□ 인간의 genome에는 약 500개의 kinase 유전자가 있으며 이는 전체 유전자수의 1.7 %에 달하며 가장 큰 genome family의 하나를 형성한다. kinase protein은 대사, 전사, 세포주기, 세포골격 재구성, 세포이동, 세포사멸 및 분화의 과정들을 조절한다. 또한 인산화는 발생 과정에서의 세포 간 교신, 생리학적 반응, 항상성 유지(homeostasis) 그리고 신경 및 면역체계의 기능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kinase가 매개하는 인산화반응은 진핵생물 내에서 일어나는 대부분의 생물학적인 과정들을 조절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암에 있어서도 유전적 변형에 의해서 발생한 kinase의 돌연변이는 암세포의 증식, 이동, 그리고 생존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이러한 kinase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작용이 암 치료의 새로운 전략으로 떠오르고 있다. 백혈병 치료제인 글리벡, 비소세포폐암 치료제인 이레사와 타세바가 실제 임상에서 이용되고 있는 저분자 kinase 저해제 들이다. 30여개의 저분자 저해제들이 현재 임상개발 중이고 이 외에도 많은 저해제들이 전 임상 단계에서 연구되고 있다.
□ Aurora kinase는 세포분열 시의 전 과정을 histone H3, Eg5, TPX2,
CENP-A, INCENP 등 여러 타깃을 인산화 하여 조절하는 serine/ threonine kinase 이다. 최근 세포분열에 관여하는 암 억제 유전자로서의 기능 손실과 더불어 Aurora kinase A, Emil 등의 발암유전자로서의 과 발현 등이 보고되어 이것들의 변이가 Aneuploidy 및 염색체 불안정성을 유발함으로써 암 발생의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 바이오테크놀로지, 의약산업의 시장 조사에서 항암제 개발에 대한 최신 전략에 관해 조사 · 분석한 뉴스레터에 의하면 저산소 유도 prodrug, Aurora kinase 저해제, IGFR-R1 길항제, 아폽토시스 유도 바이오의약, 신규 탁산계 약물, 유사분열 저해제, 세포접착 차단제 등의 의약품 개발에 관한 기업의 실적과 약제 목표 상황 등이 거론되었다.
- 저자
- Masashi Kimura ; Yukio Okan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5
- 권(호)
- 32(1)
- 잡지명
- Japanese journal of cancer and chemotherapy(L578)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5
- 분석자
- 신*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