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정맥·경장 영양관리의 사용 구분

전문가 제언
□ 영양불량증(Malnutrition)은 지나친 과영양(Overnutrition)과 영양결핍(Undernutrition)으로 구분된다. 인체의 외부 병균침입에 대한 방어능력과 정상세포의 유지 및 재생은, 다양한 영양소의 흡수와 배설의 생물학적 균형에 의해 조절된다. 영양결핍은 면역력 저하와 영양 결핍의 합병증 등을 초래할 수 있다. 영양결핍에 따른 합병증의 발생률(morbidity)과 사망률(mortality)의 비율은 각 각 23%와 8%로 보고되고 있다. 병원에 입원한 환자는 주로 영양결핍이 문제가 된다. 발표에 따르면, 입원환자 중 최대 44~50%가 영양결핍 상태로 나타나며, 영양학적으로 정상인 사람도 입원하면 25~30%가 입원중에 영양결핍 상태가 된다고 한다.(참조: s 대학병원, 발행, 병원약학)

□ 각 나라마다 영양요법에 관한 지침서가 발행되면서 각 병원에서도 영양요법을 적용하기 위해, NST의 구성요원을 전공별로 확립하여 시행을 시도하고 있다. 팀원들은 항상 5대 영양소의 대사는 물론, 생화학적 동태와 결핍증에 따른 병태를 파악하기 위해 최신 문헌을 숙지하고 연구 하여야 한다.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환자의 영양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가장 적합한 영양제제의 영양법을 선택하고, 영양요법의 효과나 합병증 등을 분석 평가하여 적합한 치료에 임하는 것이 중요하다.

□ 적합한 영양 공급법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각 각의 영양 공급법의 특징이나 합병증 등을 충분히 이해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경구 또는 경장섭취가 불가능한 환자, 혹은 위 장관의 흡수 및 기능이 불완전한 영양결핍 환자에게는, 완전정맥 영양인 TPN이나 말초정맥 영양인 PPN을 중심으로 하는 정맥 영양법을 선택한다. 소화관의 기능이 정상이면, EN을 사용하는 경장 영양법을 적용한다.
저자
Ikeda K. ; Saito K.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5
권(호)
56(1)
잡지명
약국(A153)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5~21
분석자
김*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