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요법의 기초지식
- 전문가 제언
-
□ 영양평가는 그 근본이 신체의 영양 정상 조건에서 이탈하여 있는 신체 상태를 파악 분석하여, 영양소 섭취의 불균형, 과잉, 부족에 대한 상태가 지속되면, 영양장해로 인한 질병이 생긴다는 개념이다.
□ 그러면「영양상태」를 어떻게 평가하면 좋은 것인가가「영양 어세스먼트(assessment)」인데, 영양 어세스먼트란,「개인 또는 집단의 영양 상태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것」이지만, 영양상태를 객관적으로 표현하는 것은 결코 간단하지 않다. 영양상태의 변화는 특정의 검사치 만으로 아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여러 가지의 방법을 종합해 평가한다.
□ 영양 어세스먼트의 지표는 ① 주로 Body Compositon(체지방/제지방 체중)관한 지표, ② 주로 단백 대사에 관한 지표, ③ 주로 면역능력에 대한 지표, ④ 주로 에너지 대사의 지표, ⑤ 그 외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지표로 판정하고 합병증이나 생명 예후의 판정에는 ① Prognostic Nutritional Index(PNI)- Buzdy식 적용, ② Nutritional risk Index(NRI)- 위암환자의 영양학적 수술위험지수, ③ Nutritional Assessment Index(NAI)- 식도암 환자의 영양평가지, ④ Prognostic Nutritional Index(PNI)- stageⅥ소화기암 환자의 예후영양지수, ⑤ Prognostic Nutritional Index ratio(PNIr)- 간질환 환자의 예후영양지수 등 각종예후판정지수로 한다.
□ 영양 장해에 의한 체형·체격의 이상 · 영양 장해는 체중만으로 영양상태를 평가할 없어, 체중을 구성해 있는 성분 중 무엇이 얼마나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이 필요로 하는데, 여기에는 「몸조성(body composition)」의 문제로, 영양 어세스먼트의 중요한 요소이다. 가장 기본적인 몸 조성은 「체지방(body fat: BF)」과「제지방 체중(fat free mass: FFM)」이다. 이것들을 객관적 한편 간편하게 측정할 방법이 여러 가지 시도되고 있지만, 긴박한 중증 환자의 평가 법으로서는 확립되지 않고, 여러 가지는 파라미터(영양 어세스먼트의 지표)로 추정하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 저자
- K. Sandou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5
- 권(호)
- 56(1)
- 잡지명
- 약국(A15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3~14
- 분석자
- 임*웅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