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약제관리 지도업무와 NST

전문가 제언
□ 과거 의료기관의 약사의 업무는 조제업무가 전부였다. 선진국 임상약제업무가 도입됨에 따라, 약품 및 약품관리(약품구입 및 재고관리), 약사위원회업무(약품선정 및 구입), 만성질환환자 교육(암, 당뇨 ,장기이식, 호흡기질환, 심혈관계 질환 등), 임상 약동학, 자문 업무, 고영양수액조제 및 자문요법(TPN), 그리고 의료팀의 일원으로서 회진참여 등과 같은 환자 위주의 임상약제의 업무로 약제사의 역할이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 기준은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며, 실태조사에 따르면 평균 19%의 약사들이 조제외의 업무를 담당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환자에 대한 의료서비스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약제업무의 질적 향상은 물론, 환자 중심의 관련업무의 일체가 이루어져야 한다.

□ 임상업무를 담당할 전문약사의 양성과 새로운 영역업무의 개발 및 활성화를 목적으로, 현재 병원약사회 차원에서 특수연구회(SPG)를 운영하고 있다.

○ 임상약물동태학(Clinical pharmacokinetics)
○ 임상영양학(Clinical nutrition)
○ 복약지도(Medical Guide), 항 응고약물지도, 호흡기 약물상담
○ 약제정보
○ 주사조제
○ 이외에도 종양약학, 노인약학, 소아약학, 대체약물요법, 병원약국 경영학, 정신약물치료학, 핵 치료학 및 ACS - SPG, RS- SPG등 의 특수연구회가 지방과 서울에서 운영중이다.

□ 2004년 5월에 병원약제부에서 실시한 83개의 병원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 병원약사의 69.9%는 조제 업무에, 관리 및 약물에는 14.6%, 임상지원에 11.5%, 제제 1.6%, 교육 2.4%로 약제사의 업무에 따른 역할이 조사되었다. 아직까지 병원약제사의 업무는 조제업무가 주 임을 시사한다. 병원 약제사의 배치는, 전체 인력에 대해 외래 21.8%, 병동 39.8%, 주사제 조제 3.8%로 나타나고 있다.
※ 참고 ,1) 성울대학병원; 병원약학 2) 서울삼성의료원; 병원약학
저자
Nakashita C. ; Satou K.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5
권(호)
56(1)
잡지명
약국(A153)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53~60
분석자
김*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