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산화스트레스 제어인자 함유 식물소재의 탐색 및 평가시스템(Screening and Evaluation Systems of Plant Food Materials Which Contain Oxidative Stress Regulation Factors)

전문가 제언
□ 활성산소 라디칼은 체내에서 항균, 항바이러스 작용 등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체내의 이상조건으로 과잉 생성되면 세포나 조직을 직접 파괴할 뿐만 아니라, 이들 활성산소 라디칼의 공격에 의해 생성되는 생체 과산화물도 산화적 손상을 유도하여 노화는 물론 암이나 당뇨병 등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어떻게 하면 이러한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할 수 있을까가 중요한 연구 대상이 되어 왔다.

□ 그런데 중요한 문제는 활성산소나 과산화물에 의한 산화적 손상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생체지표(biomarker)의 탐색과 고감도로 간편하게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과학적 평가시스템의 확립이다.

○ 더욱이 최근에는 유전자의 발현과 다형성에 대한 대량 분석이 가능한DNA microarray 연구와 특히 post-genome 연구로 단백질의 microarray의 개발, 특히 항체 microarray 개발연구가 세계적으로 급속히 전개 되고 있어, 앞으로 산화스트레스 측정과 기능성식품 평가법의 확립을 위한 이러한 연구기법의 접목도 요망된다. 아울러 개별 유전정보에 의한 질병의 예측과 예방 의료에 그 활용도 크게 기대되고 있다.

□ 이 논문은 일본에서 수행된 산화스트레스 제어인자의 기능과 생체의 탐색 그리고 그 평가시스템의 확립, 나아가서는 쌀이나 콩류에 함유되어 있는 항산화 안토시아닌과 참깨 중의 lignan 성분, 또한 향신료 중에 들어 있는 curcuminoid 등을 중심으로 최근 연구 동향을 소개한 것이다. 앞으로 항산화 식품개발의 발전적 전략 수립을 위한 새로운 연구접근에 유용한 정보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일본은 물론 이미 구미에서도 기능성 식품 개발을 위한 대형 project가 추진 중이다. 더욱이 세계적으로 예방 중심의 보건의료로 전향됨에 따라 질병예방을 위한 건강 기능성 식품 개발의 연구 수요와 그 제품 시장도 급속히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우리나라도 기능성식품 개발을 위한 충분한 기초연구와 임상연구에 이르기까지 연구 영역별 성과가 결집될 수 있도록 분야별, 공동 또는 분담연구가 더욱 활성화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Toshihiko Osaw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5
권(호)
52(1)
잡지명
일본식품과학공학회지(C165)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7~18
분석자
남*열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