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질환의 영양관리
- 전문가 제언
-
□ NST에서 약제사가 중심이 되는 역할
○ 대상 환자의 선정: 병원에서는 NST개입대상 환자의 결정은 간호사와 관리영양사가 행하나, 약제사도 약제관리 지도업무나 TPN조제업무의 처방감사에서 대상이 되는 환자가 있으면, 병동 간호사에게 상담하여 NST개입을 제안하여야한다.
○ 회의에 참여: 개입대상으로 된 환자의 현 병력과 기존의 병력(病歷)을 조사하여 영양요법상의 주의 사항, 식욕부진의 원인이 되는 약제 처방여부를 확인을 하여야한다. 검사치나 식사주문 내력도 확인하여야한다. 영양요법을 하는 경우, 약제를 함께 투여하게 될 경우, 약제선택과 메뉴에 대한 의견을 제안하여야한다.
□ NST회의 시의 주의사항과 스텝간의 상호협력 자세
○ 우선적으로 환자의 치료목적과 목표를 분명히 알아야 한다. 영양상태의 불량으로 평가된 경우, 영양을 공급하는 것 만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나, 입원의 궁극적 목적을 잊지 말고, 치료방향이 근본 취지에 부합되게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불분명한 사항은 각 분야의 전문요원이나 주치의에게 물어보거나 확인하여 둘 필요가 있다.
○ TPN이나 영양제의 처방은 주치의의 선택이 우선하나, 의문점이나 개선할 점이 있다고 생각될 때에는 그 뜻을 밝혀야한다.
○ 구성요원 각각의 지식 정보를 공유하기 위하여 의문점이나 의견은 즉시 회의에 제출하여야 한다. 다른 직종의 전문영역에도 호기심을 가지고 무엇이던지 물어보는 것이 좋다.
○ NST회의에서는 초보적인 지식밖에 없는 사람도, 두려움 없이 발언할 수 있어야 하며, 주위에서도 모르는 점은 책망을 하지 말고, 실천과 토의를 하면서 함께 배워가자고 하는 자세를 취하여야한다.
- 저자
- Matusi 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5
- 권(호)
- 56(1)
- 잡지명
- 약국(A15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75~80
- 분석자
- 박*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