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수처리 분야에서 약진하는 막 여과기술
- 전문가 제언
-
□ 막 분리기술은 수 처리에 있어서 불가결한 존재가 되고 있다. 선진국에서는 수도에는 이미 많은 시설에서 막 방식에 의한 정수 처리가 행해지고 있다. 배수 처리 분야에서도 막 방식의 산업폐수 처리 시설과 대규모 빌딩용 개별 순환용 처리 시설이 다수 가동되고 있고, 생활폐수에 있어서도 농업 집단폐수 처리 시설과 정화조에 도입이 진행 되고 있다. 이와 같이 막의 도입이 진척 되고 있으나 하수는 농도가 낮고 처리 대상 수량(水量)이 많다는 특징이 있어 아주 큰 막 면적이 필요하여 코스트 면에서 종래 방식에 비해 불리하다는 판단도 있다. MBR은 많은 장점에도 코스트가 높은 것이 최대의 문제점인바 막 모듈의 코스트 다운과 내 사용 년 수의 장기화로 저 코스트화가 필요하다.
□ 막을 이용한 수 처리 기술은 선진국에서는 상수도용을 필두로 산업용수 하수도 처리용 등 많은 분야에서 활발히 전개되고 있고 그에 필요한 막, 모듈, 시스템의 개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기업 중심으로 겨우 정수기, 제약 업계 및 반도체 업계 정도에서 채택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모든 막과 모듈은 수입 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몇몇 섬유업체에서 막과 모듈이 개발되어 있으나 수요가 큰 상, 하수도에 적용 예가 없어 애로를 격고 있다.
□ 막은 재질로는 PE, 폴리설폰, 불소계가 있고 막의 형태로는 평막, 중공사막이 있으며 막의 종류로는 정밀 여과막, 한외 여과막, 역 삼투압막이 있다. 상 · 하수도용에 사용 되는 막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면 대부분 정밀 여과막이 사용된다. 하수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특히 막 면적이 커야하고 손상이 일어나지 않는 강도가 필요하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개발된 막이 브레이드 보강 중공사 막이다. 이 막도 이미 국내에서 개발되어 있다.
□ 현재는 기술적 경제적으로 막 분리 수 처리 방법이 종래 방법과 경쟁력이 있으나 초기 투자비가 종래 방법에 비해 높은 것이 단점이다. 이는 안전한 물을 공급한다는 차원에서 중앙 정부나 지자체에서 관심을 가져야 할 부분이다.
- 저자
- Murakami T. ; Matsuura M. ; Huzimoto M. ; Okada M.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5
- 권(호)
- 36(3)
- 잡지명
- 월간지구환경(E35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06~112
- 분석자
- 박*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