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 재활용 현상과 전망(Present and future of food recycle)
- 전문가 제언
-
□ 재생이용 할 식품폐기물은 식용으로 재공 된 다음 폐기되는 것과 식품의 제조, 가공 및 조리과정에서 부차적으로 얻어지는 물품 중, 식용에 재공 할 수 없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각종 식용 찌꺼기 및 가공식품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가공 찌꺼기, 유통과정에서 발생하는 도시락 등의 식품 또는 소비단계에서 생기는 음식 찌꺼기 등이 있다. 그리고 식품순환 자원은 식품폐기물 중 사료 및 퇴비 등 재생이용 가능한 유용물질을 말하며, 식품 순환자원의 재생이용을 촉진하는 데는 이에 관계되는 각 주체의 기본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식품폐기물의 배출억제를 하는 방법으로는 제조과정에서의 원재료 사용합리화, 매입 및 판매방법 등의 노력에 의한 식품폐기물의 발생 자체를 억제하는 방법과 타인에게 위탁하여 식품순환자원을 비료, 사료 및 그 외에 정부령(令)으로 정하는 제품의 원재료로 이용하도록 양도하여 재생하는 방법 및 탈수, 건조, 그 외에 식품폐기물의 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발생된 식품폐기물의 재생이용을 즉시 하지 않을 경우 이를 폐기물 처리로 보내는 전 단계에서 사업자 스스로가 탈수, 건조, 발효 및 탄화 등의 처리를 하여 배출억제를 해야 한다.
□ 법에 준한 식품폐기물의 재생이용에서 식품제조업으로부터 배출되는 식품폐기물(산업폐기물)은 공장 등 비교적 규모가 큰 사업장에서 배출되기 때문에 양적인 확보가 용이하고 그의 조성도 균일하면서 안정되어 있어 비료, 사료용에 잘 활용되고 있으나 식품소매업 및 외식산업 등에서 배출되는 식품폐기물(일반폐기물)은 소량 분산형의 배출형태로 되어 있어 처리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그러므로 업계 전체의 재생이용 실시 율을 올리는데 있어 업종에 대한 취급상의 격차를 어떻게 줄이느냐가 앞으로의 큰 과제로 되고 있다.
- 저자
- Keiichi YAMAMOT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5
- 권(호)
- 34(1)
- 잡지명
- 환경기술(G25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4~38
- 분석자
- 홍*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