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CA의 관점에서 본 온난화 대책과 문제점
- 전문가 제언
-
□ 1970년경 음료 용기의 환경 영형 평가로 시작된 LCA는 1993년 ISO의 표준화 작업 개시로 크게 발전했으며, 일본은 산. 학. 관 공동으로 실시한 제1기 LCA프로젝트(1998~2002년)에서는 약 550개의 inventory data를 포함한 데이터베이스의 정비와, 54개 공업회의 협조에 의한 세계적 수준의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었다. 제2기 LCA프로젝트(2003~2006년)가 지역산업 관련 LCA기법 개발, 하류 제품의 LCA연구개발 촉진 등을 통한, LCA기법의 사회적 보급 촉진 등을 위해 진행 중이다.
□ 현재 일본에서는 매상고 5000억 엔 이상의 대기업의 경우 절반 정도가 LCA를 실시하고 있지만, 5000억 엔 미만 기업은 거의 실시하지 않고 있다. 업종별 대응상황은 전기기계 관련회사는 환경 회계를 위한 대응 등 다양한 조취를 취하고 있으며, 일반 기계, 화학회사는 타입Ⅲ 환경 라벨의 취득 추진 등 환경 부하 정보의 개시를 진행하고 있다.
□ LCA를 이용한 type Ⅲ 환경 라벨은 2006년 국제표준화가 되며, 현재 일본에서는 Eco-Leaf와 EPD (environment product declaration)가 활용되고 있다. Eco-Leaf의 취득 상황은 사무기기나 카메라 등의 최종제품이 많은 반면 소재 관련이나 비제조업 등에서는 거의 이용하지 않고 있으며, EPD는 중간제품의 이용이 많다.
□ 우리나라는 1993년 경제정의실천연합에서 「유리병 재활용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를 통해 포장용기에 대한 LCA를 소개한 것이 최초이며, 환경마크협회는 LCA를 환경마크 부여기준으로 책정하고 한국인정원은 2001년부터 제품별 환경성적표지 작성지침 및 인증기준을 개발 중이다. 가전 3사를 중심으로는 1990년 중반 시범 적용 후 친환경제품 개발 단계까지 발전했으며, 최근에는 대 · 중소기업 협력위원회를 발족하여 대기업의 환경 경영 기법(LCA, AFE 등)을 중소기업에 이전하고 있다.
□ 향후 LCA의 보급 확대를 위해서는 평가 척도의 규격화 등과 함께, LCA 수행에 따른 인센티브 증대 등에 의한 민간기업의 자발적인 참여 증대가 관건이며, LCA적 효과의 실현 시점과 추진에 따른 비용 발생 시점의 시간 지연(time lag)의 보완에 대한 지혜가 필요하다.
- 저자
- Aiba Taka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5
- 권(호)
- 34(2)
- 잡지명
- 산업과 환경(L29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9~43
- 분석자
- 조*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