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세계에서 활약하는 광촉매 기술

전문가 제언
□ 광촉매의 주요 응용기술은 산화 분해력을 이용한 살균, 유기물 분해 기술과 물과 기름의 친수성 제어 기술이며, 광촉매 시장의 위협 요인은 소비자의 이해부족, 기술적 한계 및 물질 자체의 문제점 및 부가적 기능이라는 인식 등을 들 수 있다.

□ 일본 AIST는 스패터링법에 의한 40nm 두께의 TiO2 박막에 필요한 전자 구조를 갖게 하여 매우 큰 광촉매 활성을 발현하며, 이 적층막을 기존의 복층 Low-e유리의 실외 측에 코팅함으로써 단열 기능과 광촉매 기능을 동시에 발현하는 TiO2/SnO2:F 적층막을 개발 중이다.

□ 한국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은 광촉매표준화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대기정화, 수질정화, 항균, 오염방지 등 4개 분과회를 설치하여 표준화작업을 진행하는 한편 일본 AIST와 표준화 국제공동연구를 추진 중이다. 건설화학은 광촉매를 활용해 72시간 이내에 포름알데히드를 기준치 이하로 낮추는 친환경 페인트를 2005년 4월 출시했다. 이 제품은 치밀한 도막 형성으로 VOC 방출이 거의 없으며 광촉매 적용 시 유기용제가 분해되어 페인트로서의 기능이 상실되는 단점도 보완했다. 한편 한국원자력연구소는 TiO2에 질소 이온빔을 쪼이면 태양광선 중 가시광선을 흡수한다는 사실을 규명하고 광촉매용으로 적용 연구 중이다.

□ 2005년 7월부터 대기환경에 대한 규제 강화, 웰빙 추세 지향, 첨단기술 발전에 의한 다양한 응용 제품 개발 가능성 등의 기회요인으로 광촉매 관련 제품 시장은 크게 확대될 것이다. 이에 최근에는 항균성, 오염방지성이 뛰어난 내장용 코팅재나 에너지 절약 효과를 가진 지붕용 코팅재의 상품화도 추진하고 있으며, 비 TiO2계 광촉매의 실용화를 위한 안정성 검토, 비표면적 증대에 의한 저온 합성시의 고활성화 연구 등이 필요하다.

□ 또한 이를 통해 광촉매의 응용범위와 시장규모의 대폭적인 확대를 추진함과 동시에, 물의 광분해에 의한 H2 생산과 CO2 고정화 기술 등 차세대 에너지와 환경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태양에너지의 화학에너지 변환에도 새로운 발전이 기대된다.
저자
Dakada H. ; Huzi 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5
권(호)
36(3)
잡지명
월간지구환경(E356)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88~98
분석자
조*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