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 LNG 수령기지 기술과 프로젝트 동향(Technology and Project Trends on Offshore LNG Receiving Terminals)
- 전문가 제언
-
□ 여기서는 해상 액화천연가스 수령기지 설계의 여건을 좀더 상세히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해상의 기상조건은 필수적이다. 여기의 해상 액화천연가스 수령기지 기술의 신뢰성은 해상조건이 잔잔한 해역의 경우 확립되어 있으며, 탱커 계류 및 수불 시스템의 설계 기술도 잔잔한 해역의 경우에 한하여 확립되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액화천연가스 수령기지를 건설할만한 해역의 기상조건은 거친 해역의 경우가 많을 것이며, 이러한 기상조건 하에서의 설계 기술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면 여기의 해상 액화천연가스 수령기지의 건설은 무의미해질 것이다. 즉 거친 기상조건에 대비한 구조물의 강도 계산 기술의 해설이 필요하다.
□ 액화천연가스를 연료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재가스화하여 가스로 할 필요가 있다. 액화천연가스를 재가스화하기 위해서는 비등점(-162℃)까지의 기화열과 상온까지의 열을 가할 필요가 있다. 재가스화 공정의 대표적인 것은 해수와 열 교환하여 기화하는 ORV(Open Rack Vaporizer)법과 물을 매체로 하여 수중 버너에 의해 수온을 높여 기화하는 서브머지법(Submerge Method)이 있다. 여기서 재가스화법의 원리에 대한 간단한 설명이 있었으면 도움이 될 것이다.
- 저자
- Masanori Kojim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5
- 권(호)
- 84(933)
- 잡지명
- 일본에너지학회지(M37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27~34
- 분석자
- 차*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