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센서의 기초 지식
- 전문가 제언
-
□ CCD는 1870년대 미국의 Bell연구소에서 지연소자로 발명되었다. 이는 아날로그 전기신호를 일정 시간마다에 전하량(전자의 수)으로 변환하고, 이것을 하나의 단위로 CCD의 각 셀에 넣어 운반한다는 것에서부터 Charge Coupled Device라는 이름이 붙여지게 되었다. 그런데 CMOS(Compli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s)는 반도체 구조 또는 제조 프로세스의 이름으로서 정확하게는 CMOS 프로세스+α이지만 CCD 이미지 센서보다 적은 공정으로 센서를 구축할 수 있다.
□ CMOS 이미지 센서는 칩 내에 CMOS 프로세스의 트랜지스터 등을 집적할 수 있어 구동회로와 화상 신호 처리회로 등의 주변 회로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CMOS 이미지 센서의 구동회로를 CMOS 로직회로로 실현하면 구동회로를 내장할 수 있음으로써 외부로부터는 단일 클록 입력으로 센서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CMOS 이미지 센서는 온칩으로 A-D 변환을 하여 디지털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 CCD와 CMOS 이미지 센서를 구조면에서 고찰할 때 원칙적으로는 양 센서가 다같이 포토다이오드(PD)에서 광 에너지가 전하(電荷)로 변환되고, 전하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플로팅 디퓨전(FD) 앰프를 거쳐 출력된다. 그런데 양 센서는 다같이 광을 전하로 변환하는 것이 PD라 해도 그 차이는 FD 앰프가 어디에 설치되어 있는가 하는 것에 따른다.
□ CCD와 CMOS 이미지 센서를 특성이나 화질면에서 고찰하면 CMOS 이미지 센서의 랜덤 노이즈가 많은데 그 이유는 1화소 내의 구조가 복잡하여 충분한 PD의 면적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CMOS 이미지 센서에서는 세로 줄기의 고정 패턴 노이즈(FPN)를 지적하고 있는데, 이는 인간의 눈이 시각적으로 움직이는 노이즈에 대하여 시간 적분효과가 있으므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된 FPN이 두드러지게 눈에 띄기 때문일 것이다.
- 저자
- Yoshinori Takizaw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5
- 권(호)
- 42(2)
- 잡지명
- Semiconductor technique(J60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116~122
- 분석자
- 이*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