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상 처리 기술을 이용한 열차 전방 감시 시스템
- 전문가 제언
-
□ 차상에서 직접 열차를 전방 감시하는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주요 내용을 보면 선로 공간 인식을 기본으로 하여 선로의 원거리 선로 소실점을 축출하고, 소실점을 기초로 최적 선로 영상을 얻기 위한 카메라 시야 제어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또 목표 소실점을 자동으로 소실점 추적 제어가 가능한 컨트롤 받침대를 개발하여 CCD 카메라와 적외선 카메라를 설치하여, 카메라로부터 화상 정보를 얻어 장해물을 검지는 화상 인식 시스템(machine vision system)과 검지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이와 같이 개발된 화상 처리 시스템을 실제 열차에 설치하여 주야간의 선로 영상에 적용한 결과, 목표로 하는 거리에서 이동 및 정지 장해물을 검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철도의 사고는 대형 사고로 연결되기 때문에 사전 예방과 안전 조치가 최우선이므로 첨단 시스템을 도입하여 사고 예방 및 피해를 극소화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 철도에서는 산사태나 낙석으로 인한 선로의 장애물 발생, 철도 건널목의 사고 방지, 역내에서 열차 추돌과 지하철에서는 역내에서 선로 투신자의 사고 예방, 선로 보수 시 사고, 불온자의 선로 장애물 설치 등 예상할 수 없는 사고에 대비해야 하며, 특히 운전자의 부담을 최소화하여 안전한 운전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화상 인식 시스템의 도입 확대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위험이 예상되는 지역에 운영하는 열차나 지하철부터 우선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 최근에 디지털 기술이 발달됨에 따라 열차뿐 아니라 디지털 영상을 활용한 패턴 인식 기술이 많은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동영상을 시간 단위 프레임으로 나누고 각 프레임의 내용변동이 있을 시는 픽셀의 변동 상태를 추출하고, 변화를 면적 크기, 형태, 밀도 변화, 모형 등으로 표현하여 운영자에 경보,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침입자 감시, 이동물체 감시, 위치 감시, 농작물 성장, 홍수재난, 산불 감시 등에 사용되고 있으나, 아직 미흡하므로 전문 기술을 보유한 벤처업체를 선정 후 국가적인 지원을 하여 육성해야 할 것이다.
- 저자
- Ukai M.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5
- 권(호)
- 16(1)
- 잡지명
- 철도와 전기기술(N15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19~24
- 분석자
- 조*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