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이산화티타늄·초음파 조사법에 의한 대장균 살균 메커니즘(Disinfection of Escherichia Coli by Ultrasonic Irradiation with TiO2)

전문가 제언
□ 각종 약제에 대한 내성균, O157, 레지오넬라균 등 저항성 균의 살균 대책은 인류의 건강을 위해 긴요하다.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오염 문제가 없으며 넓은 항균스펙트럼을 갖는 멸균 기술 개발 · 이용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최근 이산화티타늄을 사용하는 광촉매 반응에 의한 살균법이 주목받고 있다.

□ 이산화티타늄 · 초음파조사법은 파장이 380nm 이하인 빛을 광촉매인 이산화티타늄에 조사할 때 발생되는 활성산소 종의 산화력을 이용하는 것이며, 주요 활성 종은 OH라디칼로 보고 있다. OH라디칼의 화학적 활성이 커서 균의 세포막을 산화․손상시켜 멸균하는 것으로 본다.

□ 물의 방사선에 의한 분해 생성물에는 OH라디칼, H2O2, HO2라디칼, 수소원자, 수화전자(e-aq) 등이 알려져 있으나, 그 중 OH라디칼의 활성이 매우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용액 중 이산화티타늄의 초음파 조사에 의해서도 OH라디칼이 생기고, 그것이 멸균에 직접 관여하는 것이 분명하다. 본 보고서는 OH라디칼이 직접 멸균에 관여한다는 것을 여러 가지 실험데이터를 통해 보여준다. 따라서 앞으로 이 멸균방법의 대량 미생물 시스템에 대한 적용조건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 수용액 중에서 초음파의 침투 거리가 자외선의 그것보다 크다는 것을 고려할 때, 이산화티타늄 · 초음파 조사 멸균법이 종래의 이산화티타늄 · 자외선 조사 멸균법에 비해 더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되나 그 효과에 관한 정보는 아직 부족한 상태여서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 이산화티타늄 · 초음파조사법이 산업적 규모로 실용화될 경우 기존 가스 멸균법 적용에 따른 잔류약품 문제, 감마선이나 전자선을 이용하는 방사선 멸균 기술의 보급 지연 등 여러 난점을 상보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효과적 멸균법이 될 수 있을 것이며, 환경 보전을 위해서도 확대 ·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
Nobuaki Simizu ; Chiaki Ogaino ; Mahmoud Farshbaf Dadjou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5
권(호)
56(2)
잡지명
화학공업(A022)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06~111
분석자
김*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