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급성장하는 직접식 인라인 장섬유 콤파운드 복합체, D-LFT(II)(Direct in-line compounded Long Fiber Thermoplastic Composite, [D-LFT] (II))

전문가 제언
□ 자동차에 사용하는 철재 대체용 플라스틱의 수요는 경량화를 기본으로 조립의 용이성 및 새로운 기능의 창조(탄성중합체인 경우 금속으로는 불가) 등으로 지속적으로 확대일로에 있다.

□ D-LFT공법으로 제조된 일체형인 자동차 부품은 GMT공법과 마찬가지로 일체화가 가능하고 외관이 아름다우며, 특히 유리섬유의 분포가 균일한 특징과 탁월한 원가절감 요인으로써 Volvo, Ford 및 Chrysler 등 유수한 자동차회사에서 채택되고 있다.

□ 새로운 공법이나 부품들을 채택하는 방법이나 기준은 제품에 따라 상당히 차이가 발생한다. 유행의 사이클이 짧은 경우는 특성상 채택을 위한 결정이 매우 빠르나, 자동차인 경우는 새로운 모델이 탄생하기까지 3~5년의 준비기간이 소요되고, 그 모델에 채택되려는 새로운 공법이나 부품 등도 개발 초기에 동시에 출발하여야만 가능하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유명한 자동차회사의 채택 사실로써 품질이나 원가 경쟁력이 있음을 의미하므로 D-LFT공법은 매우 경쟁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 자동차도 최근 10여년 사이에 통폐합을 거쳐서 세계적인 경쟁 체제를 완비했다. 예전과는 달리 자기 스스로의 경쟁이 아니라 글로벌 경쟁에서 생존해야 하므로 경쟁에 필요한 모든 요소는 당연히 채택되어야 한다. 특히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대체되면서 원가 경쟁력이 지속적으로 심해지는 상황에서 이와 같은 새로운 공법은 우리나라 자동차 산업에서도 채택 및 확대가 절실하다고 생각된다.
저자
Huruhashi Akir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5
권(호)
53(1)
잡지명
공업재료(A028)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07~111
분석자
임*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