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유가격 급등의 배경과 사우디아라비아의 석유정책
- 전문가 제언
-
□ 2004년 후반에 WTI 등의 원유가격이 급등하여 배럴당 50달러대로 돌입하였으나, 그 배경의 주된 요인으로는 ① 중국 등 아시아지역과 미국의 원유 수요 증대, ② 이라크 전쟁 후 이라크 및 사우디아라비아에서의 테러에 의한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원유 생산과 수출의 영향에 대한 염려, ③ OPEC 산유국의 생산 여력 저하와 대부분 사우디아라비아 1개국에 집중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 더욱이 이들 세 가지 요인과 더불어 미국에서 석유제품의 정제 능력, 허리케인, 민간기업의 저재고에 기인하는 석유 및 가솔린 등의 공급에 대한 걱정, 나이지리아와 베네수엘라 등의 OPEC 유력 산유국의 국내 사정, 비OPEC 대표인 러시아 국내의 석유기업의 탈세 문제 및 투기 등도 석유 급등에 다소 영향을 주어 왔다. 이와 같은 석유가격 상승에 결부된 여러 가지 요인 가운데 일부를 제외하고 공통적인 것이 ‘공급 불안’에 대한 걱정이다. 산유국 각국의 사정에 의하여 원유 공급이 감소할지 모른다는 소비자와 투기 관계자의 심리적 걱정이 원유 구매를 촉진하고 가격 인상의 요인이 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 한국 석유수입의 중동 지역 의존도는 일본의 85% 수준 다음으로 높은 80%를 초과하고 있다. 한국의 동북아시아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이 지역의 에너지 안전 보장이 최대의 과제이다. 지구온난화의 진행을 억제하면서 에너지 안전 공급을 꽈하기 위해서는 상호간에 긴밀한 협력을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중국, 일본 및 한국은 경제적인 요인 이외에도 여러 분야에서 경쟁적, 적대적 관계이므로 긍정적인 협력관계가 결코 쉬운 것은 아니다.
□ 한국 정부와 민간 부분에서도 독자적으로 ‘에너지 안보와 원유를 포함한 에너지원의 자주적인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에너지의 다양화, 수입원의 분산 및 수입량을 줄이는 에너지의 고도화(원자력, 신 에너지 대책, 재생 가능 에너지 이용 등)를 통하여 수임에 의한 위험도를 줄여 나가야 할 것이다. 전략물자인 에너지를 다루는 국가 차원의 에너지 전략에서는 국익을 고려한 장기적이며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 저자
- Akira KAWAMUR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5
- 권(호)
- 28(2)
- 잡지명
- Petrotech(N33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24~129
- 분석자
- 김*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