β 결정핵제의 첨가와 폴리프로필렌 성형품의 구조 및 물성
- 전문가 제언
-
□ PP의 결정의 형태는 α, β, γ, 스멕틱(sematic)이 있다. 스멕틱 결정은 저온에서 고분자 융액을 급랭하면 생긴다. β 결정은 100~130℃에서 α 결정을 급랭하면 생긴다. 고압 결정화하면 γ 결정이 생긴다.
□ PP계의 공중합체로 PP의 결점인 저온 충격 강도를 개량한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가 필름용도에 주로 쓰이고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가 주로 사출성형으로 시판되고 있다.
□ 호모 PP는 공중합 PP보다 결정화도가 크며, 장기 하중변형 저항이 공중합체에 비하여 우수하다.
□ 결정핵제는 플라스틱의 결정화속도를 빠르게 하고 결정을 미세 균질화 함으로써 플라스틱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성 첨가제이다.
□ PP의 결정화 속도를 빠르게, 결정을 미세하게, 결정화도를 높게 하여 광학적 성질이나 기기적 성질을 높이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결정핵제는 디벤질리덴솔비톨, 파라터셔리부틸 안식향산의 알루미늄염, 알킬 페놀인산에스테르의 나트륨염, γ-키나크리돈 및 로진산 금속염 등이 있다.
□ β 결정핵제인 γ-키나크리돈의 β 결정화도 PP의 종류(호모중합, 블록 공중합, 랜덤공중합)는 성형온도 및 γ-키나크리돈의 함량에 따라 다르며 결정화도의 차이에 의해 PP 사출성형품의 굴곡 강도, 아이조드 충격 강도, 열 변형온도 및 성형 수축률이 변화한다.
- 저자
- Mitsuyoshi Fujiyam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5
- 권(호)
- 51(2)
- 잡지명
- Plastics age(D045)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40~149
- 분석자
- 고*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