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합성 광포집 안테나 착체의 초분자 색소 구조체의 구축
- 전문가 제언
-
□ 광합성 반응에서 광포집을 담당하는 안테나 착체는 가시부의 광 에너지를 받아 이것을 산화환원 반응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최초의 에너지 고정 반응으로써 지구상에 존재하는 미생물로부터 모든 동식물의 에너지 생산의 최초의 단계를 담당하는 과정이다. 식물이나 미생물의 경우 천연 가시광 에너지를 높은 효율로 흡수하기 위해서는 큰 고리상의 테트라 피롤 골격으로 된 클로로필을 이용하고 있는데 흡수된 태양에너지는 광합성 반응을 개시시키는 활성종의 짧은 여기 수명 사이에 반응 중심으로 효율성 높게 이동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흡광체는 다수의 클로로필이 배열된 상태로 초분자적 구조물, 광포집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자연이 제시하는 색소의 배열 구조는 오랜 기간의 진화의 산물로 여겨지며, 그 성능의 우수성을 믿고 이에 대한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단순화하여 효율성은 높이면서 에너지를 수집하는 인공 광포집계의 설계 기술의 습득이 화석 에너지의 고갈을 눈앞에 둔 인류에게는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 이러한 연구 개발의 성과는 광전 변환, 광증감 반응, 분자포토닉스, 분자일렉트로닉스 등의 장치에 사용될 귀중한 재료가 될 것으로 믿어지는데 나노 기술의 핵심으로 추리 첨단산업의 고부가가치 상품의 개발로 이어질 것으로 확신한다.
□ 이 글은 박테리아 및 녹색식물의 광합성을 위한 광포집계를 조사하고 이를 모방한 초분자적 구조체인 인공 광포집계를 설계하기 위한 것으로써, 몇 가지 문제점을 있으며 아직은 완성한 단계의 연구라고는 볼 수 없다. 효과적인 광포집계를 설계하기 위한 충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매우 유익한 보고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연구가 필요하므로 정부의 정책사업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Kouke M.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5
- 권(호)
- 54(1)
- 잡지명
- 고분자가공(A05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2~26
- 분석자
- 마*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