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특수 기능을 갖도록 설계된 단백질(Semisynthetic Proteins Bearing Tailor-made Functions)

전문가 제언
□ 1983년초 단백질공학(protein Engineering)이라는 개념에 따라 이론적인 설계에 기초하여 천연적으로는 존재하지 않으나 사용 목적에 적합한 단백질을 창조하기 위한 기술이 급속하게 발전하여 이제는 기능성 단백질이라는 용어가 우리에게 그렇게 낯설지 않는 연구 대상으로 등장하였다.

□ 현재까지는 단백질 기능의 개변은 매우 다양한 수법을 통해 이루어져 왔으나 그 중에서 가장 특징적이고 매력적인 시도는 생물공학적 수법과 화학적 수법을 조합한 반합성법이 있다. 반합성법이란 천연단백질을 효소적 또는 화학적으로 프레그멘트로 분할시키고 별도로 화학적으로 합성한 프레그멘트와 재결합시켜 새로운 기능성 단백질분자를 만들어내는 것을 말하나 본보는 단백질의 반합성법을 이용한 새로운 기능 창조에 대한 최근의 사례를 중심으로 개설한 것으로 바이들 기술에 뿌리를 두고 개발된 형광 라벨화 기술과 분광 기술, 각종 바이오센서 등은 나노테크놀로지의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할 것으로 믿어진다.

□ 특히 세포 내에서 테일러 메이드한 기술로 세포 내에서 새로운 기능성 단백질을 만드는 기술은 앞으로 넓은 범위의 학문적 응용성을 가질 뿐 아니라 진단의학적과 임상의학에서 활용될 가능성이 매우 큰 것으로 판단된다. 넓은 응용의 가능성을 가지며 세포 내에서 반합성적으로 단백질을 얻는 가장 유력한 수단이 될 것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 정부의 경제 계획에 따라 지나간 세월 우리의 화학산업이 소품종 다량생산의 규모의 산업으로 발전하여 왔으나, 국제적인 경쟁력이 치열한 현실 하에서는 이제 고부가가치의 소량다품종인 정밀화학산업에서 그 활로를 모색하여야 하는 이 시점에서 이러한 분야에 대한 연구와 개발 투자가 절실히 요청된다 하겠다.
저자
HAMACHI, Itaru ; TSUTSUMI, Hirosh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5
권(호)
54(1)
잡지명
고분자(A030)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3~28
분석자
마*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