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촉매 작용에 의한 탄소기공체의 나노구조 제어(Control of nano-structure of porous carbons by catalytic effect of metal compounds)
- 전문가 제언
-
□ 다공질탄소 재료로 메조기공 크기의 다공성 탄소활성탄을 얻기 위한 구조를 제어하는 촉매로 사용하는 금속종의 종류에 따르는 영향을 검토하였. 탄소재료에 첨착시킨 전이금속류와 전이금속화합물로 만든 전구체에 대하여 영향을 검토하였다.
□ 탄소재료의 기체화에 효과가 큰 칼슘화합물 및 탄소화에 효과가 큰 염화아연 등에 대하여 탄화 및 기공의 크기에 미치는 영향 등을 검토하여 상관관계를 고찰한 연구 결과이다. 얻어진 탄소기공체는 기공의 크기가 마이크로기공보다 크기가 큰 기공을 갖는데 유효하며, 얻어진 기공체는 메조기공 크기를 갖고 있다.
□ 균일하게 금속화합물을 혼합한 탄소전구체로 만든 탄소질체는 비표면적이 크고 메조기공률이 높은 탄소기공체를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아직도 기공분포의 폭이 넓어 특정 크기의 기공을 얻지는 못하고 있어 이에 대한 반응 메커니즘 및 조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금속촉매 작용에 의한 기공 제어방법의 특징은 비교적 값이 싸고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기공크기의 분포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아직도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다고 본다. 특히 탄소재료의 종류와 금속종 혹은 금속산화물 입자들이 생성되는 기공크기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하여 더 정밀한 자료를 얻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저자
- Hisashi Tama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5
- 권(호)
- (216)
- 잡지명
- 탄소(M02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47~52
- 분석자
- 원*무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