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유기 일렉트로닉스의 개발 동향(Recent Developments of Organic Materials for Electronics)

전문가 제언
□ 지금까지는 광학 및 전자공학 분야의 소재로는 실리콘계 무기재료가 압도적으로 우세하였지만, 근년에는 이들 분야에서도 유기재료의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실리콘소자의 어려운 인쇄법보다 간편한 제조방법과소자의 대폭적인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유기재료는 무기재료에 비해서 경량이면서 우수한 성형 가공성, 유연성, 분자 설계의 용이성, 경제성(염가), 폐기 처리의 용이성 등을 이용하여 무기재료에서는 볼 수 없었던 특성을 창출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가까운 장래에 유기계 소자가 무기계 소자는 상당 부분을 대체할 것으로 전망된다.

□ 향후, 유기재료를 이용한 소자의 개발 과제로는 무기계 소자의 성능을 능가하는 것은 물론, 표시소자에 있어서 다양한 고분자를 이용한 RGB(적색, 녹색, 청색)의 구현 및 유기재료의 유연성을 응용한 구부릴 수 있는 소자와 디스플레이의 개발이다. 또한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제작에 필수적인 유기 TFT를 개발하기 위한 유기반도체를 이용한 유기 FET의 개발이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우리나라의 경우, 유기 광 기능재료의 개발의 일환으로써, 유기 EL의 국산화 민관공동 프로젝트로 2003년 12월말부터 2007년 1월까지 3년간에 걸쳐 정부출연금과 민간부담으로 약 118억원의 연구개발비를 투입하여 구동 IC 등, 유기 EL의 핵심부품 및 재료의 국산화를 위한 적극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 한편, KIST의 강용수 박사팀은 작년 말에 고효율의 고체형 태양전지를 개발하는 데 성공함으로써 기존의 액체형 유기 태양전지의 단점인 유기용매의 휘발 및 누출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개발한 고체형 태양전지는 반도체 태양전지에 비해 에너지 효율은 다소 떨어지지만, 제조원가가 1/5 정도로 낮고 투명성과 유연성이 우수하여, 향후 건물 유리창, 노트북 컴퓨터 및 의류 등에 폭넓게 응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저자
Yasuhiko Shirota ; Hiroshi Kageyam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5
권(호)
56(1)
잡지명
화학공업(A022)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57~66
분석자
황*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