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소증감 태양전지에 관한 이론적 연구의 전망(Future Perspective of Theoretical Studies on Dye-sensitized Solar Cells)
- 전문가 제언
-
□ 본고는 색소감응 태양전지의 고성능화를 위한 이론화학적 논의를 위한 기획 리뷰의 총괄편으로 보인다. 2장으로부터 6장에 걸쳐 해설될 연립 비선형 미분 방정식에 의한 전기화학적 성능의 시뮬레이션,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에 의한 광산란, 전자확산, 전자재결합, 비단열 분자 시뮬레이션, 제1원리 밴드 이론에 의한 반도체의 전자 상태 및 양자화학에 의한 색소의 여기 상태, 각각의 이론화학 해설에 대한 보충사항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 이 글은 보통의 연구자가 Dirac이나 Key에 한 발 다가서는 조직적인 방법론을 찾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표에 접근하는 키워드로 계층성과 연결성을 들고 있다. 아이콘, 윈도우, 비트맵, 마우스 및 인터넷 기술을 조합한 ALTO는 현재의 PC로 발전하고 우리 생활의 필수품이 되어 생산성은 수년 전의 누구도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른 향상을 보이고 있다. 앞으로 모든 화학에서 다루는 모든 문제가 이들의 힘을 빌려 해결될 것이라는 희망을 피력하고 있다.
□ 이론화학이 이 단계에서 발전을 위한 노력을 계속한다면 이제까지 취급할 수 없었던 테마를 과감하게 도전할 수 있게 되며 각각의 연구자가 기호에 따라 이 기획의 대상인 재료가 문제가 되었거나 많은 독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바이오 문제가 될 수도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 실험화학, 전기화학 성능 시뮬레이션 분자 시뮬레이션 및 양자역학이라는 각 계층성의 성과를 마크로물성, 물질 파라미터 및 역장에 이르는 각 계층을 연결하는 연결성과 묶음으로써 색소증감 태양전지의 고성능화에 도달하는 아이디어를 찾기 위한 것이 이 기획의 희망이다. 색소증감 태양전지를 대상으로 하였을 때 그 계층성과 연결성은 실험화학-마크로물성-전기화학 성능 시뮬레이션-물질 파라미터-분자시뮬레이션-역장-양자역학의 순서가 된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이론화학을 전공하는 사람으로서는 앞으로의 화학의 발전 방향을 개관하는 의미에서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 저자
- Osamu Kita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5
- 권(호)
- 34(2)
- 잡지명
- Fine chemical(E40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59~63
- 분석자
- 마*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