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 텔루르화합물을 사용하는 리빙라디칼중합
- 전문가 제언
-
□ 리빙라디칼중합(LRP)이라 함은 중합 반응 과정에서 진행되는 성장활성종의 파괴를 가져오는 연쇄 이동, 정지 등의 반응을 억제하므로 분자량분포가 좁고 분자량의 조절이 가능하며, 중합체의 말단을 목적하는 대로 제어할 수 있는 중합을 말하는데, 비닐화합물의 중합의 경우 음이온 또는 양이온 중합의 경우는 정지가 1분자 반응이나 라디칼중합의 경우는 라디칼 간의 2분자 반응으로 정지 반응이 일어나므로 정지 반응을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리빙라디칼중합의 실현에는 많은 시간이 소비되었다.
□ 그러나 10여년 전부터 NMP, ATRP, RAFT 등의 조절된 라디칼 중합법들이 차례로 개발됨에 따라 많은 종류의 단량체의 리빙중합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극성 기능기와 공존할 수 있는 법용성과 단량체의 순도 등에 별로 영향을 받지 않는 간편성을 가지면서도 분자 구조의 정밀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중합법으로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거나 과거의 조절되지 않는 라디칼중합법으로부터 얻어진 중합체의 기능을 넘어서는 고분자 재료를 얻기 위한 연구 개발이 왕성하게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고온 장시간의 중합조건이나 촉매 분리에 어려움 때문에 아직 실용화 단계에 아직 이르지는 못한 실정이다.
□ 그러나 유기 텔루르화합물이 광 조사나 가열에 의해 탄소라디칼을 가역적 발생하는 현상이 발견된 이후 유기 텔루르화합물의 가역적인 라디칼 발생을 이용한 제4의 라디칼 리빙 중합의 시도가 성공되었다. AIBN과 같은 라디칼개시제의 존재 하에 TERP에서는 낮은 반응온도와 짧은 시간의 반응으로 분자량분포가 좁으며 분자량과 말단의 구조를 비교적 자유롭게 조절 할 수 있는 비닐중합체가 얻어진다. 또 극성 기능기를 가진 비닐화합물의 리빙중합까지도 실현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므로 고부가가치 유기 고분자재료의 개발을 위한 텔루르화학에 대한 적극적인 연구가 요청된다.
- 저자
- Yamana S.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5
- 권(호)
- 54(1)
- 잡지명
- 고분자가공(A05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7~12
- 분석자
- 마*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