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폴리머, 충전제 복합재료의 성형 가공성

전문가 제언
□ 고분자를 성형하여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이용하는 데는 순수하게 단일한 고분자 자체를 사용하든지, 상용성이 있는 다른 고분자와 여러 가지 형태, 블렌드, 얼로이 등으로 상호 부족한 물성을 보완하여 사용하거나, 마지막으로 그 고분자가 갖지 못한 물리적 혹은 열적, 경우에 따라서는 새로운 기능을 부여받기 위하여 충전제를 이용 복합화하는 3 가지의 방식이 대표가 된다. 본고는 마지막 3번 째 충전제를 이용하는 문제에 대한 전반적인 문제점들을 몇 편의 논문으로 정리를 시도, 계획하고 있다.

□ 점도가 아주 낮은 유체는 상당히 뉴톤적인 흐름을 나타내나 고분자인 경우는 분자량이 증가하며, 분자 간의 교락(entanglement)에 의하여, 전단속도에 있어, 매우 빠르게, 뉴톤에서 비뉴톤유동 거동을 보인다. 여기에 점성과 탄성적인 성질이 일정하게 역할을 하기 때문에 그 흐름의 해석은 매우 복잡하다. 실제로 구금(spinneret)이나 다이(die)에서는 전단속도가 103~105/sec.에 이르기 때문에 탄성적인 요인에 의한 다이스웰, 멜트 프랙처 등이 공정의 생산성을 극한으로 끌어올리는 데 한계로 작용한다.

□ 예고된 연재 항목에는 미분말 입자와 섬유상 충전제를 충전한 고분자계에서 점성/소성, 탄성, 점탄성에 관한 문제에서 신장유동과 온도에 의한 의존성, 마지막으로 충전제의 분산과 배향 등이 다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복합소재를 통하여 부가가치를 올리는 작업을 최근에 많이 시도하고 있기 때문에, 전반적인 정리는 이 일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저자
Hujiyama M.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5
권(호)
53(2)
잡지명
공업재료(A028)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77~82
분석자
임*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